통학경편 ()

목차
관련 정보
통학경편
통학경편
언어·문자
문헌
영천 혜연서루에서 황응두가 물목의 명칭으로 한자를 학습하도록 1916년에 편찬한 교재. 한자학습서.
목차
정의
영천 혜연서루에서 황응두가 물목의 명칭으로 한자를 학습하도록 1916년에 편찬한 교재. 한자학습서.
내용

2권 1책. 목판본. 경상북도 영천시의 혜연서루(蕙然書樓)에서 간행하였다. 어린이가 한자를 학습할 때 『천자문』이나 유합(類合)은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새로운 물목명칭(物目名稱)을 중심으로 하여 한자를 학습하도록 편찬한 분류어휘집이다.

영천군수 남필우(南泌祐)가 서문을 썼고 유한익(劉漢翼)이 그 판하(版下)의 글씨를 써서 만들었는데, 각 한자에 한글로 그 음과 석을 달아놓았다. 상권은 물목명칭·자류회합(字類會合)의 한자를 천문부(天文部)·지축부(地軸部) 등 14개의 부류로 나누어 배열하였다. 하권은 서취문자(書聚文字)·의미포함(意味包含)이라 하고 한자를 배열하였는데, 그 뒤에는 명심편이 실려 있다.

t구개음화는 물론 k구개음화도 보이며(겨래○ 威 등), 치찰음 아래에서의 전설모음화(시승ᄉᆞ 師, 일실존 存 등), i모음역행동화(맥길임 任 등), ‘에’와 ‘애’의 혼란(개으를란 懶, 개으를타 惰 등) 등의 현상뿐만 아니라, 방언어휘(졍구지ᄒᆡ ,薤 졍지쥬 廚 등)도 나타나 1916년 당시의 영천 지역의 방언을 반영하고 있다.

1921년에 일본어를 첨가시켜 중간하기도 하였다. 이 중간본은 서문에 조선문(朝鮮文)이라 하여 한글 자모의 명칭과 작자법(作者法) 및 합음(合音)의 예와 철자(綴字)의 예를 싣고 있다. 그 부류는 초간본과 동일하나 각 항목에 등재된 한자어는 다른 것이 많다. 고려대학교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영남문헌어(嶺南文獻語)의 통시적음운연구(通時的音韻硏究)」(백두현, 경북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89)
「국어어휘(國語語彙) 문헌자료(文獻資料)에 대하여」(홍윤표, 『소당천시권박사화갑기념국어학논총』, 1985)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홍윤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