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호정유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변광식의 시 · 잡저 · 제문 · 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변광식의 시 · 잡저 · 제문 · 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전라남도에서 발행한 『향토문화연구자료』 제2집에 변광식의 손자 변치도의 문집인 『죽천재유고(竹泉齋遺稿)』와 함께 영인·수록되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258수, 상량문·잡저·서(書) 각 1편, 권2에 부록으로 제문·유사·묘갈명을 비롯하여 저자가 지은 잡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비유적 묘사가 훌륭한 「추규원(秋閨怨)」·「정부원(征婦怨)」 등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소상팔경(瀟湘八景)」을 비롯하여 다수의 유람·차운의 의도로 지은 시가 있다. 「억진아(憶秦娥)」·「부불취(富不取)」·「설매(雪梅)」·「원장도가측(願葬陶家側)」·「절부구조(竊符救趙)」 등은 제재가 다양하며, 그밖에 「궁사(宮詞)」·「춘성사(春城詞)」·「양류사(楊柳詞)」·「패강사(浿江詞)」·「소년행(少年行)」·「임종사(臨終詞)」·「우림영곡(雨霖鈴曲)」 등도 실려 있다.

「범호정상량문(泛湖亭上樑文)」과 잡저의 「범호정서목(泛湖亭序目)」은 저자가 전라도 여수에 세운 범호정과 교우들과 더불어 조직한 난정계(蘭亭契) 등의 배경 및 설립취지 등을 서술한 것이다.

부록에는 난정계의 임원인 김익렴(金益廉)·조종저(趙宗著)·이정명(李鼎命) 등을 포함한 32인의 인명부를 기재한 「종남속난정회(終南續蘭亭會)」와 저자의 부모의 계보를 도식으로 설명한 「십육현조도(十六玄祖圖)」를 비롯하여 교우 임방(任埅)이 저자의 시를 차운하여 지은 10여수의 차운시와 형 변광재(邊光載)가 보낸 편지 및 친구인 홍수주(洪受疇)·조구상(趙龜祥) 등과 손자 변치도(邊致道) 등이 쓴 제문 「서묵첩후(書墨帖後)」 등이 수록되어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