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구평리 패총 ( )

목차
관련 정보
사천 구평리패총 출토 유물
사천 구평리패총 출토 유물
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토기 · 골기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목차
정의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토기 · 골기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개설

서포면 소재지에서 동쪽 300m 지점으로 자혜행 도로를 신설할 때 패총의 북쪽 일부가 끊겨 도로 남측으로 단애를 이룬 지층 속에서 패각이 노출됨에 따라 알려지게 되었다.

발굴조사는 1967년 6월단국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실시되었다.

내용

지하 70㎝에서 시작된 패층은 서쪽으로 점차 깊어져 길이 13m되는 단애에서는 지표에서 2m 깊이에 노출돼 있어 서쪽으로 갈수록 깊고 두껍게 묻혀 있는 경사진 패층임을 알 수 있다.

발굴조사는 현재의 경작지에서 단애쪽으로 300평 넓이 되는 곳에 대해 실시되었다. 패총의 동쪽 한계는 뚜렷하고 남쪽도 거의 판명되었으나 서쪽은 계속 깊어지며 연속되고, 북쪽은 주요부가 도로공사로 인해 완전히 결실되었다.

동쪽과 남쪽은 현 지표에서 30㎝ 깊이에서부터 패층이 시작되는데, 서쪽과 북쪽으로 가면서 점차 깊어져서 서단과 북단에서는 지하 1.4m에서 비로소 패층을 볼 수 있었다.

출토유물을 살펴보면, 패각 중 굴껍질과 소라껍질이 제일 많았다. 이 밖에 우렁이·달팽이·고막·조개 등 10여 종이 있었다. 골편(骨片)은 녹각(鹿角)을 비롯한 동물의 치아와 많은 짐승의 뼈가 채집되었다.

토기는 거의 문양이 있는 토기로 문양이 없는 토기는 남쪽 한계점과 서쪽의 남단 얕은 지하에서만 출토되었다. 문양은 어골문(魚骨文)·사격문(斜格文) 등 30여 종이 있다. 특히, 구멍이 뚫린 토기가 다량으로 출토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발굴된 토기조각 중에는 구연부(口緣部)조각이 많고 난형저부(卵形底部)와 첨저형(尖底形)도 여러 점 채집되었다. 골기(骨器)로는 뼈바늘〔骨針〕과 뼈낚시〔骨釣〕가 출토되었다.

패기(貝器)는 주로 장신구로서 패각을 도려내 잘 갈아 팔찌형으로 만든 것이 여러 개 발굴되었는데 그 수법이 주목된다. 석기로는 구멍이 뚫린 추(錘)가 출토되었다.

이 일대의 언덕은 현재 모두 경작지로 변했는데 주위 몇 곳에는 패각이 드러나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도 확인, 조사되지 않은 패총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사천구평리패총발굴조사보고(泗川舊坪里貝塚發掘調査報告)」(정영호, 『고고미술(考古美術)』 85, 196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