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소재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종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종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63년 증손 수오(壽五)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수오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06수, 소(疏) 2편, 권2에 서(書) 14편, 잡저 10편, 권3에 뇌(誄) 1편, 서(序) 3편, 기(記) 2편, 발(跋) 3편, 상량문 2편, 고유문 1편, 제문 16편, 권4는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삼소재기(三素齋記)·만사·제문·유계서(儒契序)·안석고유문(安石告由文)·유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차운(次韻)·증별(贈別)·만시(輓詩)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차운으로 「차김청음선생운(次金淸陰先生韻)」은 김상헌(金尙憲)의 절의를 찬양한 것이고, 증별로 「증별김계상(贈別金季常)」은 약관에 사귄 친구를 떠나보내는 애절한 심정을 읊은 것이다. 이밖에 「대암즉경(臺巖卽景)」은 산수의 승경을 묘사한 것이고, 「관의기사(觀義妓祠)」는 논개(論介)의 의열을 기린 시이다.

소(疏) 중에는 안동지방의 환곡(還穀)과 관련된 이폐(吏弊: 아전의 폐단)의 근절을 호소한 「환폐소(還弊疏)」가 있고, 서(書) 중에는 두 아들에게 일상의 생활범절을 타이른 「서일용이법시이자민수성수(書日用彝法示二子民秀成秀)」가 있는데, 특히 권농상(勸農桑)조에서 농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 주목된다.

기(記)의 「소행일록(疏行日錄)」은 1855년(철종 6) 유성룡(柳成龍)의 승무(陞廡)를 상소하기 위하여 상경하였을 때의 일기이다.

집필자
서지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