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산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시산도(示山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3.89㎢
높이
179.4m
둘레
24.0㎞
소재지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시산도는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에 있는 섬이다. 고흥반도의 서쪽 해안에서 9.7㎞, 거금도(居金島)에서 동남쪽으로 4㎞ 지점에 있다. 지질은 대부분 산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구릉성산지(높이 179.4m)를 이루며, 중앙부는 완경사지(緩傾斜地)이다. 해안은 만(灣)과 갑(岬)이 교차하여 드나듦이 심하고, 대부분 암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해는 수산업의 중심지로 멸치·바지락·굴·낙지·고막 등이 어획되며 김·미역·톳·바지락 등의 양식업도 성하다. 매년 마을 주민의 안녕과 풍어를 축원하는 제를 지낸다.

정의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에 있는 섬.
개설

시산도는 동경 127°16′, 북위 34°23′에 위치한다. 고흥반도의 서쪽 해안에서 9.7㎞, 거금도(居金島)에서 동남쪽으로 4㎞ 지점에 있다. 마치 월경지처럼 주1에서 주2을 넘어서는 먼 해상에 떨어져 있다. 풍양면 주3 관할이었으나, 1983년에 도양읍에 편입되었다. 남동쪽에 위치한 무학도(舞鶴島)와 함께 행정상으로는 시산리를 구성한다. 면적은 3.89㎢이고, 해안선 길이는 24.0㎞이다.

명칭 유래

주변에 있는 여러 섬 가운데 솔섬[松島]에서 시산도를 바라보면 마을의 지형이 활처럼 생겼고, 만조 때 바라보면 화살 모양의 돌무지가 마을을 감싸고 있는 듯이 보이는 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조선 후기까지는 시산도(示山島)라고 표기되었다. 1995년에 고흥군에서 시산도(詩山島)로 한자명을 변경하였다.

자연환경

지질은 대부분 산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봉오산(179.4m)은 최고 지점으로 대부분 구릉성 산지이며 중앙부는 주4이다. 해안은 만(灣)과 주8이 교차하여 드나듦이 심하고, 대부분 암석 주5으로 이루어져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1.4℃, 8월 평균 기온은 24.8℃, 연강수량은 1,285㎜이다.

시산항의 전면에는 솔섬과 살푸섬이 있는데,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하여 시산항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후 솔섬과 살푸섬에 방파제를 설치하여 시산항을 개발하였다.

현황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73명(남 150명, 여 123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25세대였으나, 2021년 기준으로 인구는 227명(남 118명, 여 10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42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중동부에 있는 시산 나루터 주위에 분포한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0.17㎢, 밭 0.62㎢, 임야 2.71㎢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 마늘 · 고추 · 배추 · · 들깨 등이 생산되나 식량의 자급에는 미치지 못한다.

공공시설로는 도양읍시산출장소, 신기보건진료소가 있다.

근해(近海)주6는 수산업의 중심지로 멸치 · 바지락 · · 낙지 · 꼬막 등이 어획되며 · 미역 · · 바지락 등의 양식업도 성하다. 매년 마을 주민의 안녕과 주7를 축원하는 제를 지낸다. 교육기관으로는 녹동초등학교 시산분교장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흥군지』 (고흥군, 2017)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요람』 (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2021 제61회 고흥통계연보』 (고흥군, 2022)

인터넷 자료

해양수산부 연안포탈(www.coast.kr)
주석
주1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읍. 고흥군의 남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장계산 등이 솟아 있다. 동쪽을 제외하고 삼면이 남해와 접하고, 소록도ㆍ득량도와 먼 남쪽의 시산도를 포함한다. 27번 국도가 서남에서 동으로, 남쪽에는 77번 국도가 동서로 지나며, 830번 지방도가 서쪽 경계를 따라 지난다. 녹동항이 있으며, 문화유산으로 고흥 쌍충사(高興雙忠祠) 등이 있다. 우리말샘

주2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면. 고흥군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거금도(居金島)와 주변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적대봉과 용두봉이 솟아 있으며, 27번 국도가 지난다. 문화재로 ‘고흥 절이도 목장성(高興折爾島牧場城)’ 등이 있다. 2020년 전라남도 고흥군 누리집 기준으로 면적은 65.68㎢. 우리말샘

주3

관공서나 기업체 따위에서 본사나 본점 이외의 필요한 지역에 설치하는 사무소. 우리말샘

주4

기울기가 가파르지 않은 땅. 우리말샘

주5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6

거리로 따졌을 때, 육지에 가까이 있는 바다. 우리말샘

주7

물고기가 많이 잡힘. 우리말샘

주8

바다 쪽으로, 부리 모양으로 뾰족하게 뻗은 육지.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