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가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치성공신과 수충창궐공신에 책록되고, 참지정사 · 문하시랑평장사 · 감수국사 등을 역임한 공신이자 문신.
이칭
초명
이자림(李子琳)
개명
이가도(李可道)
시호
영숙(英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034년(덕종 3)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참지정사, 문하시랑평장사, 감수국사, 중서령, 치성공신, 수충창궐공신
관련 사건
김훈·최질의 난, 나성 축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왕가도는 고려 전기 치성공신과 수충창궐공신에 책록되고, 참지정사·문하시랑평장사·감수국사 등을 역임한 공신이자 문신이다. 본래 이름은 이자림이었는데, 중간에 이가도로 바꾸었다. 과거에서 장원으로 급제한 그는 김훈·최질 등을 제거하면서 현종과 밀착되어 딸을 원질귀비로 납비하였고, 치성공신에 책봉되었다. 나성을 축조한 공으로 다시 수충창궐공신에 책봉되고 왕씨를 사성 받으면서 왕가도라 하였다. 그 뒤에는 또 다른 딸을 납비하여 덕종의 후비 경목현비로 삼았다.

정의
고려 전기, 치성공신과 수충창궐공신에 책록되고, 참지정사 · 문하시랑평장사 · 감수국사 등을 역임한 공신이자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청주(淸州). 본래의 성(姓)은 이씨(李氏)이다. 처음 이름은 이자림(李子琳)이며, 중간에 이가도(李可道)로 바꾸었다가 1029년(현종 20) 개경에 나성(羅城)을 쌓은 공으로 사성(賜姓)을 받아서 왕씨(王氏)라 하였다. 조상은 자세하지 않고, 부인은 개성군부인(開城郡夫人) 김씨(金氏)이다. 현종(顯宗)의 후비(后妃) 원질귀비(元質貴妃) 왕씨, 덕종(德宗)의 후비 경목현비(敬穆賢妃) 왕씨, 이자연(李子淵)의 첫째 아들 이정(李頲)과 혼인한 상당현군(上黨縣君) 왕씨 등 세 딸이 있다. 왕무숭(王懋崇)의 아들이라는 견해도 있다.

주요 활동

995년(성종 14) 지공거(知貢擧) 백사유(白思柔)가 주관한 과거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서경장서기(西京掌書記)를 거쳐 화주방어사(和州防禦使)가 되었다. 1014년(현종 5) 김훈·최질 등이 난을 일으켜 집권하고 있을 때, 왕의 측근인 김맹(金猛)에게 이들을 제거할 방법을 알려주면서 권서경유수판관(權西京留守判官)에 올랐다. 다음 해에 왕이 서경에 행차하여 장락궁(長樂宮)에서 신하들에게 향연(饗宴)을 베풀었을 때, 군사를 동원하여 김훈·최질 등 19인을 제거하면서 그 정권을 무너뜨렸다.

1020년(현종 11) 상서우승(尙書右丞)에 임명되었다가 이듬해에 중추부사(中樞副使)·상서우승(尙書右丞)에 올라서 상주(尙州) 관내(管內) 중모현(中牟縣)에 나타난 사리(舍利) 5백여 과를 개경으로 모셔 왔으며, 그중에 50여 과를 현화사(玄化寺)의 주불(主佛) 가운데 안치시켰다. 이 무렵에 경주(慶州) 고선사(高僊寺)의 금라가사(金羅袈裟)와 불정골(佛頂骨)을, 그리고 창림사(昌林寺)의 불아(佛牙)를 가져와 내전(內殿)에 안치하였다.

1022년(현종 13)에 동지중추사(同知中樞事)를 거쳐 중추사(中樞使)·국자좨주(國子祭酒)가 되었으며, 1024년(현종 15) 호부상서(戶部尙書)에 임명되고 이듬해에 치성공신(致盛功臣)이 되었다. 또한 1027년(현종 18)에는 곽원(郭元)과 함께 참지정사(參知政事)가 되었다.

1029년(현종 20)에는 강감찬(姜邯贊)의 주청에 따라 이응보(李膺甫)·황보유의(皇甫兪義)·황주량(黃周亮) 등과 함께 개경에 나성(羅城)을 쌓았다. 그 공으로 검교태위(檢校太尉)·행이부상서(行吏部尙書)·겸태자소사(兼太子少師)·참지정사(參知政事)·상주국(上柱國)·개성현개국백(開城縣開國伯)·식읍(食邑) 7천 호에 오르고 수충창궐공신(輸忠創闕功臣)에 책봉되었다. 이때 왕씨(王氏)를 사성(賜姓) 받았으며, 그의 부인 김씨(金氏)도 개성군부인(開城郡夫人)에 봉해졌다.

1030년(현종 21) 내사시랑(內史侍郎)·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올랐고, 1031년(현종 22) 덕종(德宗)이 즉위한 뒤에는 유소(柳韶)와 함께 문하시랑(門下侍郎)·동내사문하평장사(同內史門下平章事)에 임명되었고 딸을 왕에게 납비(納妃)하였다.

이 무렵 거란(契丹)에서 성종(聖宗)이 죽고 흥종(興宗)이 즉위하는 과정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왕가도는 이 틈을 이용하여 압록강(鴨綠江)에 쌓은 성(城)과 다리[橋]를 허물고 억류된 우리 사신을 돌려주도록 거란에게 요구하고, 들어주지 않으면 절교하자고 주장하였다. 고려에서는 실제로 그 뜻대로 표(表)를 보내었으나, 거란이 들어주지 않았다. 이에, 왕가도의 주장대로 하정사(賀正使)의 파견을 중지하였다. 그리고 왕가도는 거란의 성을 공격해서 격파하자는 유소(柳韶)의 주장을 받아들여 출병(出兵)하자는 주장까지 펼쳤지만,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왕가도는 그 뒤에 병을 얻어 사직을 청하였으나 왕이 조정에 나오는 것을 면제해 주었다. 1032년(덕종 1)에는 감수국사(監修國史)에 임명되었으나, 고향인 청주로 내려가서 요양하다가 1034년(덕종 3)에 세상을 떠났다. 이에, 왕은 그의 장례를 관(官)에서 주관하여 치르도록 하였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영숙(英肅)이다. 태사(太師)·중서령(中書令)을 증직하였다. 뒷날 강감찬(姜邯贊), 최항(崔沆), 최사위(崔士威)와 함께 현종의 묘정(廟廷)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이정묘지명(李頲墓誌銘)」

단행본

김용선 편,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3)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1984)

논문

남인국, 「고려전기 정치세력의 성분과 그 존재양태」 (『국사관논총』 61, 국사편찬위원회,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