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선헌십육경가 ()

목차
관련 정보
선석유고 / 부록 취성세고에 수록된 선석가사
선석유고 / 부록 취성세고에 수록된 선석가사
고전시가
작품
1655년(효종 6년)신계영(辛啓榮)이 지은 가사.
이칭
이칭
월선헌가
목차
정의
1655년(효종 6년)신계영(辛啓榮)이 지은 가사.
내용

1655년(효종 6년) 신계영(辛啓榮)이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인 ≪선석유고 仙石遺稿≫에 전한다. 1655년 2월에 나이 79세로 벼슬길을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와서 그해 10월에 예산(禮山) 오리지(梧里池)에서 지은 작품이다.

가사의 내용은 환해풍파에 시달리다가 사퇴하고, 시골로 돌아와 한가롭게 자연을 즐기며 살아가는 전원생활의 재미를 노래한 은일가사이다. 그 형식은 3·4·3·4조로 123행 246구의 정형가사이다. <월선헌십육경가>의 처음과 끝부분은 다음과 같다.

烏山西(오산서) 외로온 ᄆᆞ을이/내의 菟裘(도구)로다/石田(석전) 茅屋(모옥)애/終老(종로)호랴 期約(기약)터니/名韁(명강)이 힘이 이셔/十載(십재)를 奔走(분주)ᄒᆞ니/千丈(천장) 紅塵(홍진)애/검은 머리 다 셰거다/田園(전원)이 거ᄎᆞᆯ거든/松菊(송국)을 뉘 갓고며/鷗盟(구맹)이 차 잇거니/鶴怨(학원)이라 업ᄉᆞᆯ소냐/旅館(여관) 靑燈(청등)애/莊舃吟(장석음)을 제 뉘 알리/宦海(환해) 風浪(풍랑)이/猝然(졸연)히 니러나니/岨峿(저어)ᄒᆞᆫ 孤蹤(고종)이/罪(죄)ᄂᆞᆫ 어이 짓도던고/……/江湖(강호) 魚鳥(어조)ᄋᆡ/새 ᄆᆡᆼ셰 깁퍼시니/玉堂(옥당) 金馬(금마)의/夢魂(몽혼)이 섯기엿다/草堂(초당) 煙月(연월)의/시ᄅᆞᆷ업시 누워 이셔/村酒(촌주) 江魚(강어)로/終日醉(종일취)ᄅᆞᆯ 願(원)ᄒᆞ노라/이 몸이 이러구롬도/亦君恩(역군은) 이샷다.(필사본에서)

참고문헌

『17세기 가사전집』(이상보, 교학연구사, 1987)
「仙石의 詩歌」(李相寶 -서울文理師範大學, 『國語國文學 제2집』, 1961)
「辛啓榮과 그의 仙石歌辭」(朴魯春, 『現代文學 제88호』, 現代文學社, 196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상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