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혜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이조판서,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여적(汝迪)
완기헌(玩棋軒)
시호
문온(文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6년(숙종 2)
사망 연도
1739년(영조 15)
본관
파평(坡平)
주요 관직
대사헌|이조판서|좌참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윤혜교는 조선 후기 대사성, 이조판서,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소론 가문에서 태어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경종 대에는 왕세제였던 영조를 보위하였고, 영조 즉위 후에는 영조가 정미처분을 내려 소론의 의리를 천명하는 데에 일조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이조판서,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여적(汝迪), 호는 완기헌(玩棋軒)이다. 기묘사화의 일원인 윤탁(尹倬)의 후손이며, 성혼(成渾)의 외손 윤순거(尹舜擧)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윤진(尹搢)이다. 어머니 전주이씨는 이태장(李台長)의 딸이다. 어렸을 때 족부(族父) 윤증(尹拯)이 그를 보고는 뛰어난 인재라고 칭찬하였다고 한다.

주요 활동

1714년(숙종 40) 증광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검열, 대교, 봉교, 전적, 병조좌랑 등을 거쳐 1719년에는 전의현감으로 나아갔다. 경종 대에 들어서는 수찬, 부교리, 이조좌랑, 충청감사, 대사헌 등에 임명되었다. 1722년(경종 2)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당시 왕세제였던 영조가 사위(辭位)하려 하자 겸사서(兼司書)로서 다른 신하들과 함께 만류하였다.

영조 즉위 후, 승지를 거쳐 부제학에 임명되었다. 1727년(영조 3) 영조는 즉위년에 내린 바 있는 을사처분(乙巳處分)을 번복하고 노론 4대신의 행위를 다시 역모로 규정한 이른바 정미처분(丁未處分)을 내렸다. 이때 윤혜교는 부제학으로서 영부사 이광좌(李光佐), 좌의정 조태억(趙泰億) 등과 함께 영조가 소론의 의리를 인정한 정미처분을 내리는 데 일조하였다.

이어 이조참의, 대사간 등을 지냈고 1730년(영조 6)에는 동지부사로 파견되었다. 이후 한성부 우윤, 도승지, 형조참판, 대사성, 이조판서, 좌참찬 등 주요 직책을 두루 거쳤다.

1739년(영조 15) 북쪽의 여러 능을 살펴보는 일을 담당하여 떠났다가 좌참찬에 임명되어 돌아오는 길에 철원 관사에서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소론 계열로서 성품이 검소하고 정밀하여 국왕 영조의 신임을 받아 청요직을 역임하였다.

상훈과 추모

1761년(영조 37) 문온(文溫)의 시호가 내려졌다.

참고문헌

원전

『소곡유고(素谷遺稿)』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