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명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대사헌,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백승(伯承)
묵소(墨沼), 묵원(墨園)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4년(현종 15)
사망 연도
1753년(영조 29)
본관
풍양(豊壤)
주요 관직
대사헌, 형조판서, 판돈녕부사
관련 사건
정미환국|이인좌의 닌
내용 요약

조석명은 조선 후기에 대사헌,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소론 완론으로서 정국 변화에 따라 정치적 부침이 다소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큰 문제 없이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탕평정국을 거치면서 벼슬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으며, 기로소에 들었다.

정의
조선 후기, 대사헌,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백승(伯承), 호는 묵소(墨沼) 또는 묵원(墨園)이다. 예조판서를 지낸 조형(趙珩)의 증손자이며, 아버지는 수찬 등을 역임한 조대수(趙大壽)이고, 어머니는 숙종 대 영의정을 지낸 서문중(徐文重)의 딸이다. 영조 대에 주1 정국에서 활약하며 정승 반열에 오른 소론 완론 계열의 조문명(趙文命) · 조현명(趙顯命) 형제와는 주2 사이가 된다.

주요 활동

1707년(숙종 33)에 별시 문과주3 6위로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설서 · 지평 · 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1713년(숙종 39) 강원도에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부정을 일삼은 지방관들을 탄핵하였다. 관동 지방이 800여 리에 달하는 해안을 끼고 있으나 주4은 매우 부족한 점을 지적하면서 군보(軍堡)를 단속할 방도를 강구하도록 하였다.

경종 대에 들어서도 수찬 · 헌납 · 부응교 · 집의 등에 임명되었고, 1724년(경종 4)에는 동래부사로 나아갔다. 이때 경종이 승하하였기 때문에 하직 인사는 새로 즉위한 영조에게 올렸다.

영조 즉위 직후 노론이 정권을 잡았을 때에는 관직에 오르지 못하다가, 1727년(영조 3)에 정미환국으로 소론 정권이 들어서면서 다시 정계에 복귀하여 승지, 대사간 등에 임명되고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강원도의 방비를 굳건히 할 필요성에 따라 교체되었다. 8월에는 대사간으로 임명된 직후 상소하여 이인좌의 난에 동조한 주5들을 확실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대사성 · 대사헌 · 공조참판 · 경기도 관찰사 등을 거쳐 1753년(영조 29)에는 벼슬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소론 완론 계열에 속하여 전반적으로 큰 정치적 부침이 없이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기로소에 들었다.

참고문헌

원전

『동현호록(東賢號錄)』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실록』
『호보(號譜)』
주석
주1

싸움, 시비, 논쟁 따위에서 어느 쪽에도 치우침이 없이 공평함.    우리말샘

주2

사촌 관계인 형과 아우.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셋째 등급. 문과(文科)에서는 23명, 무과(武科)에서는 20명을 뽑아 정구품의 품계를 주었으며, 성균관ㆍ승문원ㆍ교서관의 임시직인 권지(權知)에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각 도의 감영(監營)이나 병영(兵營), 수영(水營)의 관할하에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둔 군영. 임진왜란 이후 도성(都城) 및 근교에는 오군영의 개편에 따라 이에 직속하게 하였다.    우리말샘

주5

자기 나라나 민족, 통치자를 반역한 사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