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조(度祖)는 조선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의 할아버지로, 이름은 이춘(李椿, ?1342)이며, 비는 경순왕후(敬順王后) 문주박씨(文州朴氏)이다. 부모는 익조(翼祖) 이행리(李行里, ??)와 정숙왕후(貞淑王后) 등주최씨(登州崔氏)이며, 아들은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 1315~1360)이다. 1392년 태조가 즉위하자 도왕(度王)으로 주1하고, 의릉으로 주2하였다.
의릉의 명확한 조성 연대는 알 수 없지만, 다른 북도 8릉과 마찬가지로 태종 재위 기간인 1400년대 초 왕릉의 모습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의릉은 상중하계(上中下階)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계에는 주4을 두른 봉분 앞에 주5이 배치되어 있다. 봉분 주변에는 주6과 주7을 배치하고, 중계에는 장명등(長明燈), 주8과 주9, 하계에는 주10과 석마가 건립되어 있다.
의릉 주11은 능 아래 15보, 주12은 정자각 남쪽 110보, 비각은 홍살문 밖 20보, 주13은 홍살문 서쪽 20보에 있다.
1906년 건립된 비각 안에는 1393년과 1901년에 건립된 의릉 표석 2기가 있다. 1393년에 건립된 지릉 표석은 앞면에 ‘도왕의릉(度王義陵)’, 뒷면에 ‘홍무이십육년시월일립(洪武二十六年十月日立)’이라고 새겨져 있다. 1901년에 건립된 고종 어필 표석에는 앞면에 ‘대한도조대왕의릉(大韓度祖大王義陵)’이라는 전서(篆書)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 주14가 있다.
의릉은 조선 전기 추존 왕릉의 제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다른 북도 8릉과 마찬가지로 15세기 초에 왕릉의 형태가 완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다만, 병풍석에 난간석(欄干石)이 없는 것이나 주15이 설치되지 않은 점 등은 15세기 왕릉과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현재 함경남도 함흥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