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릉 ()

조선시대사
유적
조선 태조의 증조할아버지인 익조의 능.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익조
소재지
함경남도 안변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지릉(智陵)은 조선 태조의 증조할아버지인 익조의 능이다. 익조는 조선 태조의 증조할아버지 이행리이며, 태조 즉위 후 익왕 지릉으로 추존되었다. 지릉은 조선 전기 추존 왕릉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봉분에 병풍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문석인, 무석인, 장명등 등의 돌거리가 건립되어 있다. 지릉은 현재 북한인 함경남도 안변군 서곡면 능리에 있다.

정의
조선 태조의 증조할아버지인 익조의 능.
건립 경위

익조(翼祖)는 조선 태조(太祖, 13351408, 재위 13921398)의 증조할아버지로, 이름은 이행리(李行里)이다.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와 목조비 효공왕후(孝恭王后) 평창이씨(平昌李氏)의 아들이다. 익조비는 정숙왕후(貞淑王后) 등주최씨(登州崔氏)이며, 아들은 도조(度祖) 이춘(李椿)이다.

1392년 태조가 즉위하자 익왕(翼王)으로 추존하고, 지릉(智陵)으로 추봉하였다. 지릉의 정확한 조영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북도 8릉이 정비되는 15세기 초에 현재의 모습이 갖추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변천

1393년 지릉 표석을 건립하였으며, 조선시대 내내 지속적으로 관리하였다. 1901년에는 고종(高宗, 18521919, 재위 18631907)이 어필(御筆) 표석을 세웠으며, 지릉뿐만 아니라 덕릉(德陵), 안릉(安陵), 숙릉(淑陵), 의릉(義陵), 순릉(純陵), 정릉(定陵), 화릉(和陵)에도 표석을 건립하고, 1906년에 비각(碑刻)을 건립하였다.

형태와 특징

지릉은 상중하계(上中下階)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계에는 병풍석(屛風石)을 두른 봉분 앞에 혼유석(魂遊石)이 배치되어 있다. 봉분 주변에는 양석(羊石)과 호석(虎石)을 배치하고, 중계에는 장명등(長明燈), 문석인(文石人)과 석마(石馬), 하계에는 무석인(武石人)과 석마가 건립되어 있다.

지릉 정자각(丁字閣)은 능 아래 70보, 홍살문은 정자각 아래 50보, 비각은 홍살문 동쪽 220보, 재실(齋室)은 홍살문 동쪽 300보에 있다.

금석문

1906년 건립된 비각 안에는 1393년과 1901년에 건립된 지릉 표석 2기가 있다. 1393년에 건립된 지릉 표석은 앞면에 ‘익왕지릉(翼王智陵)’, 뒷면에 ‘홍무이십육년시월일립(洪武二十六年十月日立)’이라고 새겨져 있다. 1901년에 건립된 고종 어필 표석에는 앞면에 ‘대한익조대왕덕릉(大韓翼祖大王智陵)’이라는 전서(篆書)가 새겨져 있고, 뒷면에 음기(陰記)가 있다.

의의 및 평가

지릉은 15세기 초 북도 8릉과 함께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 전기 추존 왕릉의 제도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병풍석에 난간석(欄干石)이 없는 것이나, 망주석(望柱石)이 설치되지 않은 점 등은 태조의 선대 추존 왕릉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15세기 일반 왕릉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원전

『북로능전지北路陵殿志)』
『춘관통고(春官通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