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기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온성부사, 순천부사, 전라우수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경수(景受)
시호
의민(毅愍)
이칭
완흥군(完興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1년(명종 16)
사망 연도
1597년(선조 30)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온성부사|순천부사|전라우수사
관련 사건
임진왜란|정유재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온성부사, 순천부사, 전라우수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수(景受). 아버지는 이연손(李連孫)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무예에 뛰어나 17세에 사복시내승(司僕寺內乘)이 되고, 그 뒤 무과에 급제해 여러 벼슬을 거쳤다. 특히, 북방 오랑캐가 침입했을 때 경흥부사로 임명되어 적을 격퇴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 뒤 무인으로서의 자질을 인정받아, 온성부사 등 국방상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591년(선조 24) 순천부사를 거쳐 임진왜란 때에는 전라우수사가 되어,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경상우수사 원균(元均) 등과 합세해 당항포(唐項浦) · 한산도(閑山島) · 안골포(安骨浦) · 부산포(釜山浦) 등지에서 왜적을 크게 격파하였다.

1596년에는 휘하의 전선(戰船)을 이끌고 전라 좌 · 우도 사이를 내왕하면서 진도제주도의 전투 준비를 돕는 한편, 한산도의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본영을 응원하는 등 기동타격군의 구실을 수행하였다. 이순신이 조정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잡혀가 조사를 받자, 이항복(李恒福) · 김명원(金命元) 등 조정대신들에게 서신을 보내 무죄를 적극 변론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통제사 원균 휘하에서 조정의 무리한 진격명령으로 부산의 왜적을 공격하다가 칠천량해전(漆川梁海戰)에서 패해 원균 · 충청수사 최호(崔湖)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1592년 6월 5일 당항포해전 이래 칠천량해전에서 전사할 때까지의 공적은 이순신 · 원균 등에 못지 않았으나, 1592년 5월의 옥포(玉浦) · 사천(泗川) · 당포(唐浦) 등지의 초기 해전에 참여하지 못했던 관계로, 임진왜란 후 공신책정(功臣策定) 때 선무공신(宣武功臣) 2등으로 되어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완흥군(完興君)으로 봉해졌다. 1600년 여수의 충민사(忠愍祠)에 이순신과 함께 제향되었다. 시호는 의민(毅愍)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난중일기(亂中日記)』(이순신(李舜臣))
『임신장초(壬辰狀草)』(이순신(李舜臣))
『징비록(懲毖錄)』(유성룡(柳成龍))
『백사집(白沙集)』(이항복(李恒福))
『오리속집(梧里續集)』(이원익(李元翼))
『난중잡록(亂中雜錄)』(조경남(趙慶男))
『매산집(梅山集)』(홍직필(洪直弼))
『임신전란사』(이형석, 신현실사, 1976)
『한국수군활동사』(최석남, 명양사, 196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