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귀 ()

월사집
월사집
한문학
인물
조선시대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이칭
성징(聖徵)
월사(月沙), 보만당(保晩堂), 치암(癡菴), 추애(秋崖), 습정(習靜)
시호
문충(文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4년(명종 19)
사망 연도
1635년(인조 13)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내용 요약

이정귀는 조선 시대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문인이다. 1564년(명종 19)에 출생하여 1635년(인조 13)에 사망하였다. 자는 성징, 호는 월사, 시호는 문충이다. 유년 시절부터 남다른 문학적 자질을 보여 8세에 한유의 「남산시」를 차운했다고 한다.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나라를 자주 왕래하였다. 그의 문장은 장유, 이식, 신흠과 더불어 한문 사대가로 일컬어졌다. 명나라의 양지원은 호탕하고 표일하면서도 화려하지 않아 아름다움을 잘 보여준다고 이정귀의 문장을 평가하였다. 시문집으로 『월사집』이 전한다.

정의
조선시대 예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月沙) · 보만당(保晩堂) · 치암(癡菴) · 추애(秋崖) · 습정(習靜). 주1는 문충(文忠)이다. 세조 때의 명신인 이석형(李石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현령 이계(李𡹘)이고, 어머니는 김표(金彪)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주2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이정귀는 문장으로 이름 높던 가문에서 출생해 가문 내에서의 가르침을 통해 성장하였다. 유년시절부터 남다른 문학적 자질을 보이기 시작해 8세에 벌써 주3의 「남산시(南山詩)」를 주4했다고 전한다.

1577년(선조 10) 14세 때에 승보시(陞補試)에 장원을 하며 명성을 떨치기 시작해 1585년(선조 18) 22세에 진사, 5년 뒤인 1590년(선조 23)에는 주5 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1592년에는 임진왜란을 만나 왕의 행재소(行在所)에 나아가 주6가 됐다. 1593년(선조 26) 명나라의 사신 송응창(宋應昌)을 만나 『대학』을 강론해 그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것은 후에 『대학강어(大學講語)』로 간행됐다.

중국어에 능하여 어전통관(御前通官)으로 주7 사신이나 지원군을 접대할 때에 조선 조정을 대표하며 중요한 외교적 활약을 했다. 1598년(선조 31)에 명나라의 병부주사 정응태(丁應泰)가 임진왜란이 조선에서 왜병을 끌어들여 중국을 침범하려고 한다는 무고사건을 일으켰다. 이정귀는 「무술변무주(戊戌辨誣奏)」를 작성하여 진주부사(陳奏副使)로 명나라에 들어가 정응태의 주장이 아무런 근거가 없음을 밝혀 그를 파직시켰다.

1601년(선조 34) 34세 때에는 동지사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 귀국한 뒤에 대제학에 올랐다. 1604년(선조 37) 세자책봉주청사로 명나라에 다녀오는 등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중국을 내왕했다. 중국문인들의 요청에 의하여 100여 장(章)의 『조천기행록(朝天紀行錄)』을 간행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그의 능력이 왕의 신임을 받았으며 병조판서 · 예조판서와 우의정 · 좌의정 등 조정의 중요한 직책을 두루 역임했다. 이정귀의 생애는 어디까지나 조정의 관리로서 소임을 다하는 것이었으므로, 그는 주8의 이상과 주9의 관인문학을 성실히 몸으로 실천해갔다. 이 점에서 그는 사대부 문학의 주10을 보였다.

그의 문장은 장유(張維) · 이식(李植) · 신흠(申欽)과 더불어 이른바 주11로 일컬어지게 됐다. 이정귀의 문장에 대해서 명나라의 양지원(梁之垣)은 주12하고 주13하면서도 지나치게 화려하지 않아 문장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장유도 그의 문학적 재능을 높이 칭찬함과 아울러 주14의 신속한 창작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정조도 그의 문장을 높게 평가했다.

이러한 평가들은 그가 사대부가 마땅히 해야 할 순수한 문학을 창작으로 실천하면서도 「무술변무주」등의 외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실용문을 써 이름을 알린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이정귀의 문학은 한편으로 이웃 나라와의 돈독한 관계를 위한 외교에 있어서 문학이 가지는 쓸모를 십분 발휘한 것으로 일단의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문학 자체의 독자적 영역을 넓히고 진실된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면에서는 다소간 미흡한 점이 있다는 평가도 아울러 받고 있다.

시문집으로는 그의 문인인 최유해(崔有海)가 편간한 『월사집(月沙集)』이 전한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월사집(月沙集)』
『청음직(淸陰集)』
『농암잡지(農巖雜識)』
「월사집 해제」(김춘동,「한국고전백선」, 『신동아』1월호 부록, 1969)
주석
주1

제왕이나 재상, 유현(儒賢) 들이 죽은 뒤에, 그들의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이름. 우리말샘

주2

문하에서 배우는 제자. 우리말샘

주3

중국 당나라의 문인ㆍ정치가(768~824). 자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변려문을 비판하고 고문(古文)을 주장하였다. 시문집에 ≪창려선생집≫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남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를 따서 시를 지음. 또는 그런 방법.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 태종 1년(1401)에 처음 실시하였으며 생진과의 초시와 복시, 문과의 초시ㆍ복시ㆍ전시 5단계로 나누었다. 우리말샘

주6

세자에게 경전과 역사를 가르치는 정7품관

주7

1368년에 주원장이 강남(江南)에서 일어나 원(元)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세운 중국의 통일 왕조. 영락제 때 난징(南京)에서 베이징으로 도읍을 옮기고 몽고와 남해에 원정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으나, 뒤에 북로남왜에 시달리고 환관의 전횡과 당쟁, 농민의 반란이 끊이지 않아 1644년에 이자성(李自成)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8

임금을 도와서 백성을 윤택하게 한다

주9

글로써 나라를 빛낸다

주10

모범

주11

조선 선조 때 문장으로 뛰어났던 ‘한학 사대가’를 달리 이르는 말. 상촌 신흠, 월사 이정구, 계곡 장유, 택당 이식의 네 사람이다. 우리말샘

주12

세차게 내달리는 느낌

주13

세속의 때가 없는 느낌

주14

내용이 알차고 문장이 세련된 글

집필자
김진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