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림 고택 ( )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19세기에 건립된, 조선시대 내관 김일준의 옛집.
이칭
이칭
청도 임당리 내관가, 청도 임당리 김씨 고택, 청도 임당동 내관가
유적/건물
건축 양식
튼ㅁ자집
건립 시기
19세기
규모
2필지/3,708㎡
소재지
경상북도 청도군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2005년 1월 31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청도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청도 운림 고택(淸道 雲林 古宅)은 19세기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내관이었던 김일준의 옛집이다. 안채 영역이 두드러지게 폐쇄적인 것을 비롯하여 일반 상류층의 주거와 다른, 내관가 특유의 주거 건축 문화와 관련 기록이 잘 보존되어 있어 건축사 · 문화사적 의의가 크다.

정의
19세기에 건립된, 조선시대 내관 김일준의 옛집.
건립 경위

청도 운림 고택(淸道 雲林 古宅)은 조선 말의 내관(內官)이었던 정3품의 통정대부(通政大夫) 김일준(金馹俊, 1863~1945)의 집이다. 김일준의 가문은 성이 다른 양자를 들여 대를 이은 내관가(內官家)였고, 시조부터 김일준까지 십육 세(世)가 이어졌으며, 이 세 이하 전 세대에 궁중 내관으로 근무하였다. 시조는 1500년대에 이 지역에 들어왔다는 구설이 있다. 각 세대의 조상이 주로 청도 주변에 본적을 둔 집안과 혼인한 것으로 보아 실제로 일찍부터 청도에 거주한 것으로 보인다.

현존 건물에서 ‘康熙 二十五年’(강희 25년, 1686)이라는 명문(銘文)이 있는 암막새 망와(望瓦)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현재 집터를 오래 전부터 썼음을 알 수 있으나 건물 구조는 19세기의 기법으로 추정된다.

변천

1908년(융희 2) 내시부(內侍府)가 폐지되면서 김일준의 다음 세대인 17세 이후의 후손들은 향리에서의 활동에 주력하였다. 운림 고택과 별도로 궁중의 현직에 종사할 때 거처한 집이 서울 돈암동과 종로에 있었으나 1950년대 이후 매각했다고 한다. 큰사랑채 북쪽에 별도의 광이 있었고, 사당 남쪽에는 행랑채가 있었으나 1988년 조사 당시 이미 없어졌다고 한다. 또한 중사랑방 2칸 중 왼쪽 1칸은 원래 마루방이었으나 온돌방으로 합쳤다 한다.

1996년, 2008년 등의 시기에 보수가 이루어졌다.

형태와 특징

이 고택은 임당리 마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운문산 줄기가 북서쪽으로 뻗은 시루봉 서쪽 기슭에 임당리가 있으며 마을 서쪽으로 동창천이 흐른다. 지세를 따라 남서향한 대문채를 지나면, 대문 안의 사랑 마당 왼쪽에 큰사랑채가 있고 우측에는 중사랑채와 그 뒤의 안채, 작은 광채, 큰 광채가 튼ㅁ자로 안마당을 둘러싼다. 중사랑채 우측에는 담장을 두른 사당 영역이 있다.

이 고택은 큰사랑채의 위치 선정과 안채 영역의 두드러진 폐쇄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사랑 마당 북쪽에서 남향하고 있는 큰사랑채에서 집안의 웃어른인 ‘상노인’은 대문채와 중사랑채, 안채를 두루 살필 수 있다. 안채와 통하는 유일한 통로인 중문간은 중사랑채의 일부이므로 중사랑채와 큰사랑채에서 안마당 출입을 인지할 수 있다. 튼ㅁ자로 안마당을 둘러싼 건물들 사이와 안채 둘레에 빈틈없이 담을 쌓았고, 일반적인 경상북도의 상류층 주거에서 안채와 바깥 사이의 출입이 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흔히 만드는 협문은 전혀 없다.

안채가 왼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 또한 특징적이다. 안채를 큰광채 위치에 지으면 대문채나 중사랑채처럼 남서향시킬 수 있었으나 중사랑채 우측 뒤편에 북서향으로 만들었다. 이는 내관직을 대대로 지낸 가문이므로 대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지은 것이라 생각된다.

대문채는 5칸 규모의 우진각지붕 건물인데 가운데 칸이 솟을대문이고 좌측의 마구간, 우측의 행랑방으로 구성된다.

큰사랑채는 대사랑채라고도 하며 전면 4칸 측면 2칸의 5량가 팔작지붕 집이다. 왼쪽 절반은 사랑 대청, 오른쪽에는 큰사랑이 있고 앞뒤에 툇마루를 붙였다. 대청에 원형(圓形)의 대공을 썼다. 사랑방 우측에는 벽장(壁欌), 후면에 반침(半寢)을 만들었고, 사랑방의 툇간에 우물천장을 설치한 것은 독특한 의장이다.

중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집인데, 제일 왼쪽에 중문이 있고 그 우측으로는 마루 2칸과 중사랑방 2칸이 앞뒤로 놓인다. 그리고 제일 우측에는 방 1칸과 마루 1칸이 앞뒤로 놓였는데, 안마당 쪽으로만 열려 있다. 좌우의 건물 모서리와 대청 좌측 앞에는 토담이 연결되는데, 대청 앞과 토담 사이는 눈높이에 구멍을 낸 널판을 설치하여 드나드는 사람을 볼 수 있게 하였다. 중사랑방은 전면과 우측의 마루에 모두 통하고 뒤에는 안마당으로 통하는 외여닫이 세살문과 쪽마루가 있는데, 안마당 쪽으로 ㄴ자형 판벽을 세워 손님의 시선을 막았다.

안채는 정면 5.5칸, 측면 2칸의 3량가 맞배지붕 집인데, 좌측부터 부엌, 안방, 대청, 건넌방이 있다. 건물 전면과 대청의 후면 2칸은 소로수장집(小櫨修粧집)으로 꾸몄고 대청 대들보 위에는 원형 대공을 올렸다. 부엌과 안방 사이에는 반 칸 폭의 다락이 있고, 안방과 대청 앞에는 툇마루, 건넌방 앞에는 쪽마루가 붙어 있다. 안채 건넌방은 중사랑채 우측 후면의 마루와 사당채 북측 협문에 인접해 있다.

큰 광채는 정면 5.5칸, 측면 2칸의 5량가 홑처마 맞배지붕 집이다. 안마당의 북동쪽을 막고 있다. 실내 우측 칸 후면 쪽에는 큰 뒤주가 있고, 그 다음 4칸에 큰 수장 공간이 이어진다. 제일 좌측엔 반 칸 규모로 부섭지붕을 달아 내고 안채 영역의 화장실인 내측을 설치하였다.

작은 광채는 안채를 마주보는 안마당 북서쪽을 막고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1칸의 3량가 홑처마 맞배지붕집이다. 수장 공간 옆에 별도로 디딜방앗간 1칸을 마련하였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에 전퇴칸을 둔 3량가 홑처마 맞배지붕집이다. 변형된 첨차(檐遮)와 인방(引防)을 겸하는 도리장혀가 보아지와 직교하여 주두 아래 결구되고 주두 위에 툇보 머리와 주심도리가 올라간다. 중사랑채 남쪽의 토담 두른 영역 안에 서향해 있고, 서쪽과 북쪽 담에 작은 협문을 설치하여 출입한다.

의의 및 평가

일반적인 상류층 주거와 다른, 내관가 특유의 주거 건축 문화와 관련 기록이 잘 보존되어 있어 건축사 · 문화사적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우원 편, 『경상북도 문화재 도록』 3(동해문화사, 1995)
전국건축문화자산 자료조사 행사위원회, 『전국건축문화자산 8권: 대구 경북편』(’99 건축문화의해 조직위원회, 1999)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 가옥 기록화 보고서』 42(문화재청, 2013)

논문

김일진·이호열, 「청도 임당동 내관가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4-6, 대한건축학회, 1988)
집필자
이우종(영남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