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앵전 ()

목차
관련 정보
춘앵전 / 화전태
춘앵전 / 화전태
무용
작품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목차
정의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내용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순조 때 세자대리 익종(翼宗)이 어느 화창한 봄날 아침 버드나뭇가지 사이를 날아다니며 지저귀는 꾀꼬리 소리에 감동, 이를 무용화한 것으로 지금까지도 전승되어오는 춤이다.

길이 여섯 자의 제한된 주1 위에서 한없이 느리게 추는 우아한 독무(獨舞)이다. 전통무용 가운데서 가장 많은 춤사위와 시적인 춤사위 용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과교선(過橋仙) · 낙화유수(落花流水) · 대수(擡袖) · 대섬수(大閃袖) · 도수아(掉袖兒) · 반수수불(半垂手拂) · 번수(飜袖) · 불화렴(拂花簾) · 비금사(飛金沙) · 비리(飛履) · 사번(乍飜) · 사예거(斜曳裾) · 연귀소(燕歸巢) · 전화지(轉花持) · 절요이요(折腰理腰) · 타원앙장(打鴛鴦場) · 탑탑고(塔塔高) · 풍류지(風流枝) · 화전태(花前態) · 회란(廻鸞) · 회파신(廻波身) · 후포수(後抛袖) · 수수쌍불(垂手雙拂) · 회두(回頭) 등이 있다.

특히, 이 가운데서도 귀하고 값지게 평가하는 화전태는 높고 아름다운 교양을 나타내는 장면이기도 하다. 춤이 시작되자 부르는 창사는 순조 28년(己丑, 1828) 세자인 익종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반주음악은 「춘앵전」에 한해서는 평조회상(平調會相)의 느린 「상영산(上靈山)」부터 시작하여 「중영산(中靈山)」 · 「세영산(細靈山)」 · 「삼현환입(三絃還入)」 · 「타령(打令)」 등의 점점 빠른 음악의 순으로 바꾸어 나간다. 이 춤은 독무이지만 여기(女妓)가 추는 것과 무동(舞童)이 추는 두 가지가 있었다.

춤을 출 때 입는 무복(舞服)도 여기와 무동의 복식이 각각 다르다. 여기복식은 화관(花冠)을 머리에 쓰고, 황초삼(黃綃衫) · 홍초상(紅綃裳)을 입는다. 초록하피(草綠霞帔)에 홍단금수대(紅緞金繡帶)를 띠고, 오채한삼(五彩汗衫)을 매며, 홍금수구(紅錦繡鞲:臂鞲)에 초록혜(草綠鞋)를 신는다.

무동복식은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백질흑선천수의(白質黑縇穿袖衣) · 옥색질흑선상(玉色質黑縇裳) · 녹사쾌자(綠紗快子)를 입는다. 홍한삼(紅汗衫)을 매고, 오사대(烏紗帶)를 띠며, 호화(胡靴)를 신는다. 지금은 무동, 즉 남성의 춤이 아니고 모두 여성이 추는 까닭에 예전의 여기복식이 전하고 있다.

이 춤이 실려있는 무보(舞譜)로는 『순조기축진작의궤(純祖己丑進爵儀軌)』가 있다.

참고문헌

『순조기축진작의궤(純祖己丑進爵儀軌)』
『고종계유각정재무도홀기(高宗癸酉各呈才舞圖笏記)』
『예술무용』(조원경, 해문사, 1967)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주석
주1

꽃의 모양을 놓아 짠 돗자리. 강화도에서 만든 것이 유명하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