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수록 ()

목차
관련 정보
파수록
파수록
구비문학
문헌
부묵자(추정)가 저술한 한문 소담집.
목차
정의
부묵자(추정)가 저술한 한문 소담집.
내용

이본으로는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파수록(罷睡錄)』과, 1958년 민속학자료간행회에서 간행한 유인본(油印本) 『고금소총(古今笑叢)』 속에 들어 있는 『파수록(破睡錄)』이 널리 알려져 있다.

『고금소총』본에 의하면, 편자는 ‘부묵자(副默子)’로 되어 있고, 편찬 연대도 편자가 쓴 서문 끝에 “세 임술 양월초길(歲壬戌陽月初吉)”로 되어 있다. 그러나 ‘부묵자’의 본명이 무엇인지, ‘임술년’이 어느 해를 가리키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고금소총』본 『파수록』에는 모두 63편의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각 편에는 제목이 없이 ‘○’ 표로써 시작되고 있다. 반면 서울대학교본 『파수록』에는 총 37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책머리에는 서문이 없이 목차가 제시되어 있다. 이 목차는 자수가 일정하지 않으며, ‘……사(事)’라는 식으로 되어 있다. 예 : 제1화 향군순야견남녀여마롱건선사(鄕軍巡夜見男女如馬弄健羨事), 제2화 관북기표정발인치사(關北妓表情拔人齒事) 등과 같다.

양본 모두 매 편의 끝부분에 ‘부묵자왈(副默子曰)’이라는 평설이 붙어 있는데, 이를 통하여 편자는 여러 가지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의도는 자료의 취사선택에도 작용된 듯하다.

이 책에는 『고금소총』에 수록되어 있는 다른 유서(類書)들과 달라서 음담패설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간혹 그런 것이 섞여 있기는 하지만, 그 표현 수법은 매우 완곡하게 되어 있다.

『고금소총』의 서문에서 객(客)이 부묵자에게 “하고많은 가언선행(嘉言善行 : 좋은 말과 착한 행실)을 내버려 두고 하필이면 음란한 이야기를 취하였는가?” 하고 물으니, 부묵자가 “이 책을 보고 착하면 본받고 악하면 경계하여 스스로 깨우칠 뿐”이라 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문헌설화전집(韓國文獻說話全集)』7(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편, 태학사, 1981)
『고금소총(古今笑叢)』(민속학자료간행회, 195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조희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