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학자인 박기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대한제국기
저자
박기녕(朴箕寧)
편자
박염주
권책수
6권 3책
권수제
하수선생문집(荷叟先生文集)
판본
목판본
표제
하수집(荷叟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하수문집』은 조선 후기 영남의 학자 박기녕(朴箕寧, 1779~1857)의 시가와 산문을 모아 1909년 간행한 시문집이다. 6권 3책의 목판본으로, 표제와 판심제는 ‘하수집(荷叟集)’, 권수제는 ‘하수선생문집(荷叟先生文集)’이다.

정의
조선 후기, 학자인 박기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저자 박기녕(朴箕寧, 1779∼1857)의 자는 치승(穉承), 호는 하수(荷叟),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남야(南野) 박손경(朴孫慶)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16년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한 후 성균관에서 공부하다가 도중에 과거 공부를 포기하고 무주 적성산으로 들어가 은거하다가 다시 문경으로 돌아와 제자를 양성하면서 생을 마친 인물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저자 사후에 아들인 염주(濂周)가 부친의 시문과 잡저 등을 수집하고 편차하였지만 간행하지 못하다가 저자의 종현손인 대식(大植)이 당시 금부도사인 유도헌(柳道獻)의 서문을 받아 1909년에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6권 3책, 목판본이다.

내용

『하수문집』은 천지인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책에는 권두에 유도헌(柳道獻, 1835~1909)의 서문과 문집 전체에 수록된 작품의 목록이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권1에는 형식의 구분 없이 저자가 지은 한시를 수록하였고, 권2에는 장편의 「남정기행(南征紀行)」 등 한시 몇 편과 애사(哀辭) 1편, 뇌사(誄辭) 1편 및 지인들과 주고받은 서간 31편이 수록되어 있다. 2책은 권3과 권4로 구성되어 있다. 권3에는 3편의 서문(序文)과 두 편의 기문(記文), 발문 1편, 5편의 지(識), 세 편의 잡저(雜著)와 3편의 상량문(上樑文)이 수록되어 있고, 권4에는 21편의 제문(祭文)과 두 편의 유사(遺事)가 수록되어 있다. 3책은 권5와 권6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5에는 두 편의 묘지명과 1편의 시장(諡狀), 4편의 행장(行狀)이 수록되어 있고, 권6에는 부록으로 저자의 행장과 타인이 지은 제문과 만사(輓詞)가 수록되어 있다. 한시는 타인과 수창한 작품과 만시가 대부분인데, 저자가 적성산으로 돌아갈 때 지은 「남정기행(南征紀行)」과 적성산에 은거할 때 지은 「적성팔경(赤城十景)」 및 118운에 달하는 「설중즉사(雪中卽事)」가 저자의 시적 능력을 보여 준다. 잡저 가운데 「중용도(中庸圖)」는 『중용』의 제1장에서 제33장까지의 유기적 연관성을 도표로 표시하고 해설을 붙인 글로 중용에 대한 저자의 깊은 학식을 보여 준다.

현황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천지인 3책으로 구성된 원본의 이미지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저자는 중용을 학문의 요체로 삼아 항상 암송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중용 33장 전편에 대해 그림과 글로 설명한 「중용도(中庸圖)」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중용도설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최석기, 『조선시대 중용도설』 (보고사, 2013)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