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륜사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흥륜사지
경주 흥륜사지
불교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아도가 창건한 사찰. 사적.
내용 요약

흥륜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아도가 창건한 사찰이다. 신라 최초의 가람이며, 사지는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신라에 불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온 최초의 승려 아도가 창건한 사찰이라 전하며, 이차돈의 순교와 함께 신라의 대가람으로 중창되었다. 진흥왕은 이 절을 ‘대왕흥륜사’라 하고, 만년에 스스로 삭발하여 법운이라는 법명을 받고 이 절의 주지가 되었다. 조선시대에 화재로 소실된 뒤 폐사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국내에서 유일한 인면문(人面文) 와당(瓦當)은 ‘미소짓는 얼굴’을 기와에 조각한 것이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아도가 창건한 사찰. 사적.
내용

신라 최초의 주1이며, 사지는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신라에 불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온 최초의 승려 아도(阿道)가 창건한 사찰이라 전하며, 이차돈(異次頓)의 순교와 함께 신라의 대가람으로 중창되었다. 527년(법흥왕 14)에 이차돈이 순교하자 나라 사람들은 이 이적(異蹟)에 놀라고 또 슬퍼하여, 그를 위하여 절을 짓고 천경림(天鏡林)의 공사를 다시 진행시켜 544년(진흥왕 5) 2월에 완공하였다.

진흥왕은 이 절을 ‘대왕흥륜사(大王興輪寺)’라 하고, 그 해 3월 백성들이 출가하여 주2가 되는 것을 허락하는 한편, 궁중에 있는 여러 사람들을 절에 머무르게 하였다. 또한, 진흥왕은 만년에 스스로 삭발하여 법운(法雲)이라는 법명(法名)을 받고 이 절의 주지가 되었다. 그 뒤 이 절은 대법회(大法會)를 주관하는 도량이 되었고, 왕실과 국가의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영험의 가람으로 존중되기도 하였다. 불국사석굴암을 창건한 김대성(金大城)이 전생에 밭을 보시한 절도 흥륜사였고, 김현(金現)이 호랑이와 인연을 맺게 된 것도 이 절이었다. 또한, 민간에서는 매년 4월 주3부터 보름까지 이 절의 탑을 돌면서 염불을 하는 주4를 열기도 하였다.

이 절의 오당(吳堂)에는 미륵삼존불상이 있었는데, 이는 선덕여왕 때의 승상 김양도(金良圖)가 조성하여 봉안한 것이다. 금당(金堂)에는 신라 십성(新羅十聖)의 상을 그린 벽화가 있었다. 동쪽 벽에는 아도 · 이차돈 · 의상(義湘) · 혜숙(惠宿) · 안함(安含)이, 서쪽 벽에는 표훈(表訓) · 원효(元曉) · 자장(慈藏) · 혜공(惠空) · 사파(蛇巴) 등의 상이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

금당의 좌우로는 행랑(行廊)이 있었고, 좌경루(左經樓)와 남지(南池) 및 탑이 있었다. 흥륜사의 남문은 길달문(吉達門)이라고 불렀는데, 귀교(鬼橋)를 만들었던 비형(鼻荊)의 무리 가운데 길달(吉達)이라는 귀신이 지었다고 해서 그와 같이 불렀다고 한다. 황룡사(皇龍寺) · 사천왕사(四天王寺)와 함께 거대한 규모였으나, 신라 말에 반군(叛軍)의 방화(放火)로 남문과 주5가 불타버렸다.

921년(경명왕 5) 정화(靖和) · 홍계(弘繼) 두 승려가 기부금을 모아 중수하려 하였을 때, 제석천(帝釋天)이 절의 경루에 내려와 열흘을 머물었으며, 절에 향기가 가득하고 오색구름이 뒤덮자 사람들이 옥과 비단 등을 시주하고, 공장(工匠)들이 스스로 와서 며칠 만에 수리를 끝마쳤다고 한다. 중수 후 제석천이 다시 하늘로 가려 할 때 그 모습을 그려 모시고자 하였으나 제석천은 자신의 원력(願力)이 보현보살(普賢菩薩)보다 못하다고 하면서 보현의 상을 그리도록 하였으므로, 두 승려는 받들어 보현보살의 상을 벽 사이에 그렸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에 화재로 소실된 뒤 폐사가 되었으며, 유물로는 주6와 배례석(拜禮石)이 남아 있었으나, 이것 또한 경주 부윤 이필영(李必榮)에 의하여 동헌(東軒)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이 중 석조는 신라의 유물 중 가장 큰 석조인데, 길이 2.3m, 너비 1.1m이다. 또한, 이곳에서 출토된 국내에서 유일한 인면문(人面文) 와당(瓦當)은 미소짓는 얼굴을 기와에 조각한 것으로, 일본인에 의하여 일제 때 반출되었다가 1972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 이 절에 대한 발굴작업은 1972년과 1977년 6월에 실시되어 금당지 부근 일부가 발굴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신라의 폐사(廢寺)』 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4)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주석
주1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 우리말샘

주2

비구와 비구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4월 8일로 석가모니의 탄생일이다. 이날에는 파일등을 단다. 8일 및 9일의 이틀 밤에는 집집마다 여러 가지 모양의 등에 불을 켜 달고 그 아래서 물장구를 치거나 풍악을 하고, 딱총과 불놀이를 하며 느티나무의 잎을 넣어 만든 시루떡과 검정콩을 쪄서 먹는다. 우리말샘

주4

절에서 탑 주위를 돌며 부처님의 공덕을 찬미하고 각자 소원을 비는 행사. 우리말샘

주5

정전(正殿) 아래로 동서(東西)에 붙여 지은 건물. 우리말샘

주6

큰 돌을 파서 물을 부어 쓰도록 만든 석기. 큰 절에서 잔치를 하고 나서 그릇 따위를 닦을 때 흔히 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장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