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바라밀다심경소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093년(고려 선종 10) 개성 흥왕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번각하고, 1472년(성종 3) 다시 간행한 불경.
이칭
약칭
심경소(心經䟽)
문헌/고서
편찬 시기
1093년
간행 시기
1472년
저자
법장(法藏)
편자
의천(義天)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반야바라밀다심경소(般若波羅密多心經疎)
판본
목판본
표제
심경소(心經䟽)
소장처
청주고인쇄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19년 3월 8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반야바라밀다심경소(般若波羅蜜多心經疏)는 1093년(고려 선종 10) 개성 흥왕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번각하고, 1472년(성종 3) 다시 간행한 불경이다.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 황해도 개성 흥왕사(興王寺)에서 간행하였고,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한 번각본(飜刻本)을 성종 때 인수대비의 발원으로 다시 찍어 간행하였다.

정의
1093년(고려 선종 10) 개성 흥왕사에서 간행한 판본을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번각하고, 1472년(성종 3) 다시 간행한 불경.
저자 및 편자

『반야바라밀다심경소』는 1093년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이 개성 흥왕사에서 편차(編次)하여 처음 간행하였다. 저자는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이며, 편자는 의천이다. 의천의 속명은 왕후(王煦), 호는 우세(祐世), 법명은 의천이다.

아버지는 고려 11대 왕 문종이며, 어머니는 인예왕후(仁睿王后) 이씨(李氏)이다. 문종의 넷째 아들로 11세에 출가하여, 1067년(문종 21) 승통(僧統)이 되었고, 1086년( 선종 3) 송나라에서 귀국한 뒤, 흥왕사의 주지가 되어 천태교학(天台敎學)을 정리하였다.

또한, 흥왕사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설치하고,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3권을 편집하였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최초로 삼장(三藏)의 정본 외에 주석서인 장소(章疏)만을 수집하여 목록을 작성한 것이다.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서지사항

이 책은 1권 1책의 목판본으로 32.9×17.7㎝ 크기이다. 김수온(金守溫, 1410~1481)이 지은 발문은 갑인자(甲寅字) 소자(小字)이다. 선장본(線裝本)으로 표제는 “심경소(心經䟽)”, 상하 광고(匡高)는 24.0㎝로 판별 7행 20자이다.

판별 판심제(版心題)는 “반야심경소(般若心經䟽) · 소(䟽)”이다. 발문은 8행 16자, 소자 쌍행(雙行)으로 사주단변(四周單邊)이다. 권말 간기(刊記)는 “대안구년계유세고려국대흥왕사봉선조조(大安九年癸酉歲[1093]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 한림서예대조신배간서(翰林書藝待詔臣裵簡書)”라 하였고, 중수(重修) 간기는 “천순육년임오세조선국간경도감봉교중수(天順六年壬午歲[1462]朝鮮國刊經都監奉敎重修)”라 하였다.

발문(跋文) 간기는 “성화팔년하유월초길순성좌리공신보국숭록대부행판중추부사영산부원군신김수온근발(成化八年[1472]夏六月初吉純誠佐理功臣輔國崇祿大夫行判中樞府事永山府院君臣金守溫謹跋)”이라 하였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본은 1472년 김수온이 지은 발문에 따르면, 1462년( 세조 8) 간경도감에서 번각한 것을 1472년 인수대비(仁粹大妃, 1437~1504)의 발원으로 다시 간행한 책이다.

구성과 내용

표지를 제외하면 21장으로 본문은 9판 18장, 발문은 3장이다. 권수(卷首)에 “반야바라밀다심경소(般若波羅密多心經疎) 병서(幷序) 경조숭복사번경사문(京兆崇福寺翻經沙門) 법장(法藏)이 술(述)”이라 하였다. 본문은 교흥(敎興), 장섭(藏攝), 종취(宗趣), 석제(釋題), 해문(解文)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교흥 · 장섭 · 종취 · 석제에 대한 설명과 이후 경전을 인용하여 주석한 해문으로 구성하였다.

의의 및 평가

1093년 고려 초 판본을 1462년 간경도감에서 번각한 후, 1472년 간행한 판본으로 원간기(原刊記)를 비롯하여 중수 간기, 발문을 갖추었다. 고려 초 교장(敎藏)은 대부분 전하지 않고 있어 현존하는 희소성뿐만 아니라, 교장 간행과 세조 때 간경도감을 통하여 번각한 사실, 인수대비의 발원에 따라 간행한 사실을 알 수 있는 서지학적 조건을 갖춘 사례로서 가치가 크다.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불교사 · 서지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3월 8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반야바라밀다심경소(般若波羅密多心經疎)』
집필자
강민식(충북대학교 박물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