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문서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소용이 없어진 문서의 뒷면을 서책 표지의 배접지 또는 본문 책지로 재활용함으로써 서책이 필사되거나 인쇄된 면의 뒷면에 남겨진 문서.
내용 요약

지배문서는 소용이 없어진 문서 배면(背面)을 서책 표지의 배접지 또는 본문 책지(冊紙)로 재활용함으로써 서책이 필사되거나 인쇄된 면의 뒷면에 남겨진 문서이다. 서책뿐만 아니라 서화나 병풍의 배접지에서도 지배문서가 확인된다.

키워드
목차
정의
소용이 없어진 문서의 뒷면을 서책 표지의 배접지 또는 본문 책지로 재활용함으로써 서책이 필사되거나 인쇄된 면의 뒷면에 남겨진 문서.
내용

지배(紙背)는 종이 뒷면을 뜻하며, 지배문서(紙背文書)는 종이 뒷면을 발라 남겨진 문서를 말한다. 이전에 사용하였던 문서 가운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문서의 경우에는 서책 표지, 서화, 병풍의 배접지로 사용되었으며, 드물게는 서책 인쇄용 종이로도 사용되었다.

고서 표지에 배접된 지배문서의 사례로는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의 『두시언해(杜詩諺解)』 표지에서 발견된 숭정 5년(1632) 관문서가 있으며, 동양문고 『신편부인대전(新編婦人大全)』 표지에서 발견된 호구단자(戶口單子) 등이 있다. 고서 표지의 배접지뿐만 아니라 본문 책지 뒷면에서도 지배문서가 확인된다. 종이가 귀했던 시기이므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문서의 배면에 본문을 인쇄하였던 것이다.

지배문서는 본문 각 면의 책지로 사용되었기에 분량이 많은 연속된 문서들이 사용되었다. 그 사례로는 권근(權近)『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입학도설(入學圖說)』의 본문 책지에서 확인된다. 전자의 『오경천견록』 본문 책지의 이면에는 1429년 11월 1일부터 1430년 3월 2일까지 충청도 각읍 수령이 관찰사에게 보낸 주1 문서가 사용되었으며, 후자의 『입학도설』(서울대본) 본문 책지는 1439년 7월 23일부터 8월 11일까지 경상도 각읍 수령이 관찰사에게 보낸 첩정 문서가 사용되었다.

의의와 평가

고서 표지의 배접지 또는 본문 책지로 사용된 지배문서는 대부분 관아에서 작성 또는 접수되었던 관문서로 확인된다. 관아에서 보관하다 이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 폐기 처분된 문서들이 서화, 병풍, 서책 등의 제작에 재활용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지배문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자료적 가치를 가진다.

첫 번째는 문서의 내용, 형식, 형태 등의 고문서적 가치를 들 수 있다. 현재 임란 이전의 관문서가 많지 않아 희귀성을 띤다는 점에서 연구 자료적 가치가 높다. 고서의 표지 또는 본문의 지배문서 중에는 임란 이전의 고문서가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당시 문서의 형식과 내용 등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두 번째는 고서에 지배문서가 사용된 경우 해당 고서의 간행 시기 등 간행 배경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간행 시기를 알려주는 간기(刊記)가 표기되어 있지 않은 고서의 경우에는 언제 간행된 것인지 추정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고서에 지배문서가 사용된 경우 해당 문서의 작성 시기를 통해 고서의 간행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참고문헌

논문

안병희, 「古書의 紙背文書에 대하여」(『서울대학교 도서관보』 11,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1975)

인터넷 자료

한국고문서종합목록(https://www.nl.go.kr/korcis/)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http://kostma.korea.ac.kr/)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주석
주1

서면으로 상관에게 보고함. 또는 그런 보고. 우리말샘

집필자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