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호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대사헌, 이조참판,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차소(次韶)
삼괴당(三魁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6년(세조 2)
사망 연도
1497년(연산군 3)
본관
고령(高靈)
주요 관직
부제학|동부승지|도승지|대사헌|이조참판|경기도관찰사
정의
조선 전기에, 대사헌, 이조참판, 경기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차소(次韶), 호는 삼괴당(三魁堂). 도승지 신장(申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신숙주(申叔舟)이고, 아버지는 주1 신주(申澍)이다. 어머니는 영의정 한명회(韓明澮)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74년(성종 5) 약관으로 성균진사시에 장원을 하고, 1480년 식년문과에 다시 장원을 하였다. 그 해 감찰에 임명되고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이듬해 천추사(千秋使) 홍귀달(洪貴達)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나라에 갔다. 그 때 명나라 역관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수료병(水潦病)에 걸려서 돌아오지 못하고 고생하는 자가 많았으므로 명나라 예부(禮部)에 건의하여 그들을 치료하게 한 뒤, 모두 귀환하게 하였다. 명나라에서 돌아온 뒤 수찬(修撰) · 교리를 역임하였다.

1486년 부응교로 있을 때 또다시 문과중시에 장원하여 과거제도가 생긴 이후 세 번이나 장원을 한 것은 처음이라며 칭송이 자자하였다. 그 해에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으로 주2되었고, 『여지승람』을 정정하여 『동국여지승람』으로 다시 찬술해내는 데 참여하였다. 이듬해 그 공으로 왕으로부터 녹피(鹿皮)를 하사받았으며, 왕명으로 요동(遼東)에 가서 한어(漢語)를 습득하고 돌아왔다.

1487년 홍문관직제학을 거쳐 이듬해 부제학이 되었으며, 이듬해 동부승지가 된 뒤 예조참의 · 좌승지 · 우승지 · 도승지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1491년 대사헌으로 있을 때 북쪽 오랑캐 침입 사건에 관한 어전회의 중에 영의정을 모욕한 죄로 파면되었으나, 얼마 뒤 다시 등용되어 도승지 ·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병조 · 예조 ·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494년 경기도관찰사로 나갔으며, 이듬해 중앙으로 들어와 예조참판 겸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있으면서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496년(연산군 2) 병환을 무릅쓰고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인 1497년에 돌아오던 중에 개성에서 죽었다. 주3한 장자의 풍모를 지녔으며, 문장과 시 · 글씨에 뛰어났다. 저서로 『삼괴당집』이 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매계집(梅溪集)』
『해동잡집(海東雜集)』
주석
주1

나라의 큰 의식이 있을 때에, 절차에 따라 종친과 문무백관을 인도하던 집사관. 우리말샘

주2

정한 등급을 뛰어넘어서 벼슬을 시킴. 우리말샘

주3

마음이 너그럽고 후덕하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재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