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숭인 ()

성주이씨 영정 / 이숭인
성주이씨 영정 / 이숭인
유교
인물
고려 후기에, 이색, 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으로 불리며 성균사성, 우사의대부, 밀직제학 등을 역임하였으며, 『도은집』 등을 저술한 문신.
이칭
자안(子安)
도은(陶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47년(충목왕 3)
사망 연도
1392년(태조 1)
본관
성주(星州)
출생지
경상북도 성주
정의
고려 후기에, 이색, 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으로 불리며 성균사성, 우사의대부, 밀직제학 등을 역임하였으며, 『도은집』 등을 저술한 문신.
개설

경상북도 성주 출신. 본관은 성주. 자는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 아버지는 이원구(李元具)이며, 어머니는 언양 김씨(彦陽金氏)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진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숙옹부승(肅雍府丞)이 되고, 이어서 장흥고사 겸 진덕박사(長興庫使 兼 進德博士)가 되었다. 문사(文士)를 뽑아 명나라에 보낼 때 수석으로 뽑혔으나, 나이가 25세에 미달하여 보내지 않았다. 이후 예의산랑(禮儀散郎) · 예문응교(藝文應敎) · 문하사인(門下舍人)을 지냈고, 우왕 때 전리총랑(典理摠郎)이 되어 김구용(金九容) · 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주1의 사신을 돌려보낼 것을 청하다가 귀양을 갔다.

귀양에서 돌아와 성균사성이 되고,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로 전임하여 동료와 함께 소를 올려 국가의 시급한 대책을 논하였다. 이어서 밀직제학이 되어 정당문학(政堂文學) 정몽주와 더불어 실록을 편수하고, 동지사사(同知司事)로 전임하였다. 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가 되어서는 원나라 서울에 가서 주2을 축하하고 돌아와 예문관제학이 되었다. 창왕 때 박천상(朴天祥) · 하륜(河崙) 등과 더불어 영흥군(永興君) 왕환(王環)의 진위를 변론하다 무고로 연좌되었고, 헌사(憲司)가 극형에 처하기를 청하자 피해 다니다가 시중 이성계(李成桂)의 도움으로 다시 주3에 시강하게 되었다. 그러나 간관 구성우(具成佑) · 오사충(吳思忠) · 남재(南在) · 심인봉(沈仁鳳) · 이당(李堂) 등이 상소를 올려 탄핵하여 경산부로 유배되었다.

당시 첨서밀직사사 권근(權近)이 이숭인을 구출하기 위하여 무죄를 상소했으나, 간관이 도리어 권근의 상소가 거짓을 꾸민 것이라 상소하여 우봉현(牛峯縣)으로 이배되었다. 공양왕 때 간관이 이숭인을 다시 논죄하여 다른 군으로 이배되었고, 후에 청주옥(淸州獄)에 수감되었으나 수재로 인하여 사면되었다. 얼마 뒤 소환되어 지밀직사사 · 동지춘추관사가 되었으나, 정몽주의 당이라 하여 삭직당하고 멀리 유배되었다. 조선의 개국에 이르러 자기와 함께 처세하지 않은 데 앙심을 품은 정도전이 심복 황거정(黃居正)을 보내어 유배지에서 주4되었다.

이숭인은 타고난 자질이 뛰어나고 문사(文辭)가 전아(典雅)하여, 이색은 “이 사람의 문장은 중국에서 구할지라도 많이 얻지 못할 것이다.”라고 칭찬하였고, 명나라 태조(太祖)도 일찍이 이숭인이 찬한 표문(表文)을 보고 “표의 문사가 참으로 절실하다.”라고 평가했으며, 중국의 사대부들도 그 저술을 보고 모두 탄복하였다. 저서로는 주5이 있다. 그 서문에 의하면 생존시에 『관광집(觀光集)』 · 『봉사록(奉使錄)』 · 『도은재음고(陶隱齋吟藁)』 등을 지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조실록(太祖實錄)』
『용재총화(慵齋叢話)』
『상촌집(象村集)』
『해동악부(海東樂府)』
『도은집(陶隱集)』
주석
주1

중국 명나라 초에, 몽골 지방으로 물러났던 원나라 때의 잔존 세력이 세운 나라. 명나라군의 여러 차례에 걸친 공격으로 곧 붕괴하였다. 우리말샘

주2

양력 1월 1일.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임금의 앞에서 경서를 강론하던 자리. 예종 11년(1116)에 처음으로 설치하였다가, 공양왕 2년(1390)에 경연(經筵)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4

형벌로 매를 쳐서 죽임. 우리말샘

주5

고려 말기의 학자 도은 이숭인의 문집. 조선 태종 4년(1404)에 권근이 왕명에 따라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5권 2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배종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