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숙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중국 충칭의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무부 및 외무부 직원으로 활동하였던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20년 12월 27일
사망 연도
1989년 3월 17일
본관
여흥(驪興)
출생지
경상북도 상주
대표 상훈
건국포장(1977)|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90)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민영숙은 일제강점기 중국 충칭의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무부 및 외무부 직원으로 활동하였던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참여하였고, 1942년 2월 9일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무부 부원으로 선임된 이후 임시정부 법무부 총무과 과원, 외무부 정보과 과원, 회계검사원 조리원, 주화대표단(駐華代表團)의 선전과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중국 충칭의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무부 및 외무부 직원으로 활동하였던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민영숙(閔泳淑)은 1920년 12월 27일 경상북도 상주군(尙州郡) 함창(咸昌) 쾌동리(夬洞里)에서 민제호(閔濟鎬, 이명 민우명)와 모친 평산신씨의 2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13년 아버지를 찾아, 1927년에 두 오빠인 민영구(閔泳玖) · 민영완(閔泳琬)과 함께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인성학교(仁成學校)에서 공부하였다.

주요 활동

민영숙은 두 오빠와 함께 1939년 2월 광시성〔廣西省〕 류저우〔柳州〕에서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線靑年工作隊)에 참여하여 항일연극과 강연, 합창, 전단을 배포하는 등 반일 사상을 고취하고 초모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9년 5월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과 가족들은 류저우를 떠나 쓰촨성〔四川省〕 기강(綦江)에 도착하여 머물렀는데, 남자 67명, 여자는 민영숙 등 40명, 총 107명이었다. 기강현 정부에서는 한교등기잠행판법(韓僑登記暫行辦法)을 제정하여 한인(韓人)들에게 거주 신청서를 작성 제출하게 하였고, 등록증을 발급하였다. 임시정부 요인과 가족들은 대부분 상승가(上昇街) 진가공관(陳家公館)에 머물렀고,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청년들은 기강현의 산 위에 있는 관음암(觀音庵)에 거처하였다.

1942년 2월 9일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무부 부원(部員)으로 선임되었고, 1943년 3월 강홍주(姜弘周) · 김석동(金奭東) · 남상규(南相奎) · 민영주(閔泳珠) · 윤신민(尹信民) · 이범석(李範錫) · 최용덕(崔用德) · 황애숙(黃愛淑) 등과 함께 한국독립당 신입 당원이 되었고, 1943년 3월 한국독립당의 5개 구(區) 중 김구(金九) · 이시영(李始榮) · 황학수(黃學秀) · 조완구(趙琬九) · 차리석(車利錫) · 안훈(安勳) · 엄항섭(嚴恒燮) · 김관오(金冠五) · 민필호(閔弼鎬) · 민영구 · 안우생(安偶生) · 유병무(劉炳茂) · 김월성(金月星) · 박수복(朴守福) · 방순희(方順熙) · 신명호(申明浩) · 윤신민 · 신익희(申翼熙) 그리고 민영숙 등 18명으로 구성된 제1구에 속하였는데, 주회(周回)는 매주 일요일 오후 1시였다.

한국독립당은 1940년 5월 9일 한국국민당 · 재건한국독립당 · 조선혁명당 등이 통합되어 창당된 정당으로, 통합 과정부터 건군 문제를 검토하고 계획하여 한국광복군 편성을 한국독립당이 추진해 나갈 당면 목표의 하나로 결정하였다.

1943년 4월 2일 임시정부 법무부 총무과 과원(科員)으로 선임되었고, 1944년 6월 1일 임시정부 외무부 정보과 과원으로 전보되어 같은 해 6월 27일, 7월 4일 임시정부 회계검사원 조리원(助理員)으로 선임되어 1945년 4월 3일까지 활동하였다. 1945년 11월 1일 박찬익(朴贊翊)을 단장으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駐華代表團) 선전과원으로 한인들에 대한 조사, 구호, 재산 처리, 귀환 등의 활동을 펼치고 귀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이 수여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43: 서한집 II』(국사편찬위원회, 2011)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4: 한국독립당 II』(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35: 한국국민당 I』(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6: 외무부』(국사편찬위원회, 2007)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8: 정부수반』(국사편찬위원회, 2006)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1: 헌법·공보』(국사편찬위원회, 2005)
『대한민국임시정부 자료집 6: 임시의정원 V』(국사편찬위원회, 2005)
한시준, 『한국광복군 연구』(일조각, 1993)
『독립유공자공훈록』 5(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4(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3)

논문

김정인, 「임정 주화대표단의 조직과 활동」(『역사와 현실』24, 한국역사연구회, 1997)
오은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결성과 항일공연예술활동」(『한국근현대사연구』 87,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집필자
윤선자(전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