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문

목차
관련 정보
기문
기문
구비문학
문헌
조선후기 소화 · 음담패설 · 동물우화 등을 수록한 야담집.
목차
정의
조선후기 소화 · 음담패설 · 동물우화 등을 수록한 야담집.
내용

내용으로 미루어 편찬연대는 19세기 전후로 추측된다. 수록된 자료는 모두 66편이다. 그 가운데 소화(笑話)가 52편으로 가장 많고, 그 중 40여편이 음담패설이다. 동물우화가 4편 수록된 것도 특이하다.

수록된 설화의 제목은 「작겁호갈(鵲怯狐喝)」·「교토탈화(狡兎脫禍)」·「섭백발흑(鑷白拔黑)」·「방분세전(放糞貰錢)」·「군시양의(君是良醫)」·「호사호계(虎死狐計)」·「박호취처(搏狐娶妻)」·「아함최호(阿咸最好)」·「양렬공착(佯裂孔窄)」·「궐서하재(厥書何在)」·「자원비장(自願裨將)」·「편복불참(蝙蝠不參)」·「이비철비(爾鼻鐵鼻)」·「집수엄구(執手掩口)」 등이다.

특히, 제58화 「혹기위귀(惑妓爲鬼)」는 한문소설 「오유란전(烏有蘭傳)」과 줄거리가 일치하여 이 한문소설이 「혹기위귀」의 소재를 바탕으로 하여 창작되었으리라 추측된다. 이는 민속학자료간행회에서 펴낸 『고금소총』에 수록되어 알려졌다.

참고문헌

『조선후기문헌설화(朝鮮後期文獻說話)의 연구(硏究)』(조희웅, 형설출판사, 1981)
『고금소총(古今笑叢)』(민속학자료간행회, 1958)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조희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