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성명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도승지, 대사헌,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집(聖集), 군집(君集)
송석(松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4년(현종 15)
사망 연도
1740년(영조 16)
본관
여산(礪山)
주요 관직
사헌부지평|이조좌랑|동부승지|대사성|형조참판|공조참판|도승지|대사헌|함경도관찰사
정의
조선 후기에, 도승지, 대사헌, 함경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성집(聖集)·군집(君集), 호는 송석(松石). 참의 송시철(宋時喆)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송광순(宋光洵)이고, 아버지는 호조참판 송징은(宋徵殷)이다. 어머니는 민도(閔燾)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9년(숙종 25)에 생원시에 합격, 1705년에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1년에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에 세자시강원문학(世子侍講院文學)이 되었으며 강도(江都)에서 무재(武才)를 시험하기 위해 어사로 파견되기도 하였다. 1713년에 홍문관수찬에 임명되었고 세자시강원의 겸문학(兼文學)을 겸임하였다.

1715년(숙종 41) 부교리로 있으면서 소장(疏章)의 출납에 대한 내의원(內醫院)의 방금(防禁)이 심하다고 했다가 파직되었다. 이듬해 복직되어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을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으나 계언(啓言)이 왕의 비위를 거슬려 파직되었다. 그 뒤 1717년에 보덕(輔德), 1719년에 사인(舍人)으로 임명되었다.

경종 즉위년인 1720년에 부응교·동부승지가 되었는데 정치의 득실을 상소하다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1723년(경종 3)에 승지·대사성, 그리고 황해감사를 역임했고, 영조 즉위 후 다시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또한 실록청당상(實錄廳堂上)으로 제수되어 『숙종실록(肅宗實錄)』 개수에 참여하였다.

이 해에 진주부사(陳奏副使)로 청나라에 가서 명(明)의 『태조실록(太祖實錄)』과 『대명회전(大明會典)』에 태조가 고려의 권신 이인임(李仁任)의 아들로 잘못 기재된 것의 정정을 요구하였다. 이듬해에는 우윤·이조참판·부제학에 임명되었고, 1729년(영조 5)에는 형조참판·대사성에 임명되었다. 사은부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가 곧 호조참판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에는 공조참판·동경연(同經筵)·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731년에는 되었고, 도목정사(都目政事: 관리들의 근무 성적을 평가하던 제도)을 실시하여 공조판서로 임명되었고 반송사(伴送使)로 활약하기도 하였다. 이듬해에는 대사헌·판윤·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예문관제학 겸 예조판서를 거쳐 대사헌을 지냈다.

1735년에는 좌참판을 거쳐 함경도관찰사에 임명되었고 임기 동안 도내에 문학을 권장하여 교육을 진흥할 것을 상소하였다. 1736년에는 공조판서로 임명되고 그 뒤 좌참찬·대사성·좌참찬에 거듭 임명되었다. 1739년에 다시 공조판서에 이어 대사헌에 임명되었다. 문명이 있었으며, 저서로 『송석헌집(松石軒集)』과 편서인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이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호보(號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몽와집(夢窩集)』
『한포재집(寒圃齋集)』
집필자
원유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