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채 ()

목차
국악
인물
일제강점기 전도성의 제자로 동일창극단과 조선음악협회 산하의 조선악부에서 활동한 판소리의 명창.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5년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전라북도 부안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전도성의 제자로 동일창극단과 조선음악협회 산하의 조선악부에서 활동한 판소리의 명창.
내용

전라북도 부안 출신. 소리에 재질이 있었으나 집안이 가난하여 15세부터 엿장수를 하며 혼자 소리를 외치고 다니며 익혔다. 따라서 좋게 태어난 목과 목구성은 대단하였으나 소리제가 너무 통속적인 노랑목이었고 체계가 없었다.

1933년 명창 전도성(全道成)에게 소리를 배워 비로소 소리의 법도를 터득하였다. 1943년 동일창극단(東一唱劇團)에 입단하여 창극활동을 시작하였고 1941년 조선음악협회 산하의 조선악부에 입단하여 이동백(李東伯)·박녹주(朴綠珠)와 같은 명창들과 함께 활동하였다. 광복 후에 각종 공연단체를 수행하며 이름을 떨치다가 6·25사변 때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흥보가」와 「적벽가」를 잘 불렀는데 특히 「적벽가」가운데 화용도(華容道) 장면을 잘 하였다. 청이 수리양성(목이 약간 쉰 듯한 소리)으로 성량이 매우 풍부하고 통속적인 기교를 뛰어나게 잘 부려 청중의 인기가 대단하였으나 소리 법도는 그 이름에 미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판소리소사』(박황, 신구문화사, 1974)
「1940년대 판소리와 창극 연구」(김민수, 한국학중앙연구원박사학위논문, 2013)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