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분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우찬성, 경상도도체찰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유(子㕀)
애일당(愛日堂)
시호
충장(忠莊)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54년(단종 2)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우찬성|경상도 도체찰사|우의정
관련 사건
계유정난
정의
조선 전기에, 우찬성, 경상도도체찰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자유(子㕀), 호는 애일당(愛日堂). 할아버지는 정신중(鄭臣重)이고, 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정이오(鄭以吾)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문음(門蔭)주1으로 벼슬에 나가 경승부승(敬丞府丞)에 이르렀고, 1416년(태종 16) 주2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이조좌랑 · 승문원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422년(세종 4) 사간원우헌납이 되었고, 이어 좌헌납 · 병조정랑 · 의정부사인에 올랐다. 1428년 주3경차관(咸吉道敬差官)으로 파견되어 수재 상황을 살폈다. 1429년 사헌부집의에 올랐으며, 이듬해 결송사(決訟事)로 수금되어 주9으로 유배되었다가 아버지의 소청으로 양주에 이치(移置)되었다.

1432년 승정원우부대언에 발탁되었다. 이후 좌부대언 · 우승지 · 좌승지가 되었으나, 곧 부상으로 사직하였다. 1436년 충청도감사가 되었고, 1438년 이조참판 ·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1443년 주문사(奏聞使)가 되어 주4에 다녀왔다. 1449년 전제상정소제조(田制詳定所提調)를 겸대했고, 영응대군(永膺大君)의 집을 짓는 일을 감독하였다.

1450년(문종 즉위년) 우찬성에 오르면서 계속 판이조사를 겸임했고, 충청 · 전라 · 경상도 도체찰사가 되어 연변주현(沿邊州縣)의 성터를 살폈다. 1452년(단종 즉위년) 김종서(金宗瑞)의 천거로 우의정에 올랐다.

이듬해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주도한 계유정난으로, 문종주5을 받아 단종을 보필하던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 등이 주살되자 그도 낙안(樂安)에 안치되었다. 곧 고신(告身)을 추탈당한 뒤 낙안의 주10가 되었다.

이후 대신과 대간의 빈번한 주6가 계속되었지만, 1년 여간 목숨을 보존하다가 1454년 사사(賜死)되었다. 성격이 침착하면서도 주7이 있었다. 문신이지만 토목에 조예가 깊어, 세종 말부터 단종 초에 걸쳐 궁궐 조성 및 지방 읍성 축성, 현릉(顯陵) 조성 등을 맡았다.

1746년(영조 22) 김종서 · 황보 인과 함께 주11이 복구되었다. 1786년(정조 10) 장흥충렬사(忠烈祠)주12되었고, 1791년 장릉(莊陵) 충신단에 배식(配食)되었다.

1804년(순조 4) 충신을 표창하기 위해 그 집 앞에 정문을 세웠다. 1808년 신창(新昌) 진사 이기선(李基善) 등의 상소로 조상의 묘를 옮기지 않는 주8을 받았다. 시호는 충장(忠莊)이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해동잡록(海東雜錄)』
『대동기문(大東奇聞)』
주석
주1

고려ㆍ조선 시대에, 공신이나 전ㆍ현직 고관의 자제를 과거에 의하지 않고 관리로 채용하던 일. 우리말샘

주2

임금이 몸소 과장(科場)에 나와 시험 성적을 살피고 급제자를 정하던 일. 또는 그 시험.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둔 팔도의 하나. 태종 16년(1416)에 영길도를 고친 것인데, 성종 1년(1470)에 영안도(永安道)로 고쳤다가 중종 4년(1509)에 다시 함경도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4

1368년에 주원장이 강남(江南)에서 일어나 원(元)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세운 중국의 통일 왕조. 영락제 때 난징(南京)에서 베이징으로 도읍을 옮기고 몽고와 남해에 원정하여 전성기를 이루었으나, 뒤에 북로남왜에 시달리고 환관의 전횡과 당쟁, 농민의 반란이 끊이지 않아 1644년에 이자성(李自成)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5

임금이나 부모가 죽을 때에 남긴 명령. 우리말샘

주6

저지른 죄에 대하여 벌을 줄 것을 청함. 우리말샘

주7

사람의 재능과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국가에 큰 공적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영구히 사당에 모시게 하던 특전. 우리말샘

주9

먼 지방. 또는 먼 곳. 우리말샘

주10

관가에 속하여 있던 노비. 우리말샘

주11

관직(官職)과 작위(爵位)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공신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일. 우리말샘

집필자
한충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