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주조합 ()

근대사
단체
1876년 개항 이후에 객주들이 그들의 상권을 유지하기 위해 결성한 동업 조합.
이칭
이칭
상회, 상회사, 상법회사, 상회소, 객주상회소, 객주상법회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객주조합(客主組合)은 개항 이후 객주들이 그들의 상권을 유지하고 자본력이 튼튼한 외국 상인과 경쟁하기 위하여 결성한 동업 조합이다. 1880년대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대표적으로 원산항의 원상상의소(1883), 인천항의 인천객주상회(1885), 부산항의 부산상법회사(1889) 등이 있다. 1894년 이전까지 객주조합은 정부의 관할 하에서 각종 명목의 세금을 내는 등 규제를 받았다. 1894년 이후에는 정부의 수탈과 지배에서 벗어나 객주의 상권을 옹호하는 데 힘썼다. 1905년 이후 근대적 성격의 상업회의소로 전환되었다.

정의
1876년 개항 이후에 객주들이 그들의 상권을 유지하기 위해 결성한 동업 조합.
개설

개항기에는 상회(商會) · 상회사(商會社) · 상법회사 · 상회소(商會所) · 객주상회소 · 객주상법회사 등으로 일반 상인들의 상회사(합자회사)와 구별되지 않은 채 불렸다.

연원 및 변천

개항 이후 개항장의 수출입 상품은 자본력이 튼튼한 외국 상인, 특히 청나라 상인과 일본 상인 및 그들의 소유 선박이 점차 독점하게 되면서, 자본력이 미약한 민족계 상인들은 그들과 경쟁함에 있어서 점차 열세에 놓이게 되었다.

그래서 민족계 상인들은 자본을 모아 자본력이 튼튼한 회사를 조직하거나, 또는 동직자 조합 같은 단체를 결성하여 단결된 힘으로 그들의 상권(商圈)을 유지하면서 외국상인에 대항하기 시작하였다.

전자는 일반 상인들이 상회사를 설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객주조합은 후자의 형태로서 객주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정부로서도 자국의 상인을 보호하는 한편, 재정 수입을 확보와 객주 감독을 위해 객주조합의 설립을 인가해 주었다.

이러한 객주조합은 1880년대초부터 싹트기 시작하여 개항장마다 결성되었다. 대표적인 것으로, 1883년 원산항의 원산상의소(元山商議所), 1885년 인천항의 인천객주상회(仁川客主商會 : 뒤의 紳商協會), 1889년 부산항의 부산상법회사(釜山商法會社), 연대 미상의 목포항의 목포상객주회(木浦商客主會) 등이 설립되었다.

객주조합의 조직은 각 회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주로 회장(또는 사장) · 부회장(또는 부사장) · 총무(또는 위원) 등이 있었다. 그런데 회장과 부회장에는 소관 부서의 관리가 임명되었으며, 총무는 상무(商務)에 밝은 객주가 담당하였다. 그리고 각 회원에게는 객주구문의 일부를 납부하도록 하여, 중앙에 납부하는 상납금 및 기타 조합의 운영비에 충당하였다.

외국 상인으로부터 상업 정보를 수집하여 회원에게 알리는 한편, 회원들의 영세자본을 모집하여 근대적인 회사 설립을 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객주조합은 1905년 이후에는 근대적 성격의 상업회의소로 전환되었다.

기능과 역할

객주조합의 활동과 성격은 1894년을 기점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1894년 이전에는 조직과 운영에 있어서 아직 근대적 상인 단체의 모습과 내용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당시 정부의 관할 하에 있어 각종 규제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각종 명목의 세금을 바쳐 부족한 정부 재정을 보충해 주는 대신에 정부로부터 갖은 특권을 부여받고 있었다.

1894년 이후에는 정부의 수탈과 지배에서 벗어나면서 객주의 상권을 옹호하는 데 크게 노력하였다. 한편 외국 상인과의 교역 및 상권 침투에 대해서도 객주의 상권을 보호하는 데 힘썼다.

그리고 개항장에 주재하는 관리의 횡포에 항의하거나 각종 잡세의 폐지를 요구하였으며, 개항장에서 외국상인의 불법행위가 있으면 규탄, 고발하고 정부에 그 시정을 청원하였으며, 외국상인과의 교역에 있어서 객주구문율의 결정, 곡물거래규칙, 가격협상, 대금결제방식 등 다방면에 걸쳐 객주의 상권을 옹호하는 데 힘썼다.

참고문헌

『통리기무아문일기(統理機務衙門日記)』
『한국자본주의성립사론(韓國資本主義成立史論)』(조기준, 대왕사, 1973)
『한국개항기(韓國開港期)의 상업연구(商業硏究)』(한우근, 일주각, 1970)
「개항기(開港期) 외국상인(外國商人)의 침입(侵入)과 한국상인(韓國商人)의 대응(對應)」(이병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한말(韓末)의 민족상인단체(民族商人團體)의 성격고(性格考)」(조기준, 『학술원논문집(學術院論文集) 인문사회과학편(人文社會科學編)』 13,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