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경 ()

외교
인물
일제강점기 때, 주차영국공사관, 이왕직사무관 등을 역임한 관료 ·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3년(고종 10) 7월 22일
사망 연도
1934년 2월 27일
본관
제주(濟州)
출생지
서울
정의
일제강점기 때, 주차영국공사관, 이왕직사무관 등을 역임한 관료 ·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본관은 제주(濟州). 고영희의 아들. 대한제국기 전문 외교직에서 활동하고 ‘한일병합조약’ 체결에 앞장섰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린 시절 가정에서 한학을 수학하였고, 1886년 1886년 13세에 육영공원에 입학하여 신식 교육을 받았다. 1891년에는 과거시험에도 응시하여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이후 출사하여 1894년 7월에 외아문 주사, 1896년 1월에 외부 번역관보로 임명되었다. 그해 3월에 군부 주사가 되었다가 5월에 일본공사관 참서관에 임용된 이후 주로 전문 외교직에서 활동하였다.

1896년 6월에는 주차영국공사관 5등 참서관에 임명되었고, 1904년~5년에는 예식원의 외무과장과 예식과장으로 승진하였다. 영어에 능통하여 고종의 신임을 받았다.

1904년에는 대동구락부에서 설비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대동구락부는 1904년 ‘외국인 고문 용빙에 관한 협정서’가 체결된 이후 일본 유력자들이 모여 조직한 친일단체이다.

1905년 이토 히로부미가 통감으로 있을 때 조선 왕실과 통감 사이를 중개하여 관계를 밀접하게 하고 통감의 지시를 국왕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 시기 그의 활동에 대해 『대한계년사』는 ‘이토에게 정부의 크고 작은 일들을 밀고하였다’고 기록하였다. 일본측 자료는 ‘이토통감을 잘 보좌하여 그 뜻을 국왕에게 전달하고 반일파 조선 귀족을 설득하여 일한병합을 성사시킨 공이 크다’고 평가하였다.

1906년 4월에는 예식원 부경(副卿)으로 승진하고, 같은 해 5월에는 제도국 의정관을 겸임하였다. 또한 1906년 8∼9월에 궁내부의 예식과장과 예식관에 연이어 임명되는 등 1906년간에 특히 여러 관직을 승진 혹은 겸임하였다.

1907년 10월에는 한창수, 엄달환 등과 함께 일본 황태자 봉영위원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왕세자 이은의 강제 일본유학을 성사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왕세자 유학이 결정되자 이윤용, 송병준 등과 함께 그를 배종하였다. 그 뒤 동궁태부 등의 관직을 거쳐 1911년 2월에 이왕직 사무관에 임명되었다. 왕세자 유학시 배종하여 20여년간 왕세자를 수행하며 일본에 거주하다가, 1926년에 내부의 세력다툼에 밀려 이왕직 사무관에서 파면을 당하고 얼마 후 귀국하였다.

1930년에는 친일단체인 수양단 조선연합회 찬조원으로 활동하였다. 1934년 2월 27일 지병으로 경성 본가에서 사망하였다. 사망과 동시에 식민통치에 협력하고 귀족 사회의 친일경향을 이끌어낸 공로로 일본 정부로부터 욱일대수장을 받았다.

이 밖에 1907년 3월에는 특파 대사 다나카 궁내대신의 체재에 편의를 지원한 공로를 인정받아 훈2등 서보장을 받았고, 1907년 11월 왕세자 유학 관련 사무에 대한 공로로 훈2등 욱일중광장을 받았다. 또한 1915년과 1928년에 다이쇼 일왕 즉위와 쇼와 일왕 즉위를 기념해서 수여되었던 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16년 1월 15일 부친 고영희가 사망함에 따라 ‘조선귀족령’에 의거하여 작위를 계승하였고, 고영희가 수작할 당시 받았던 은사공채 10만원에 대한 권리를 이어 받았으며, 조선 귀족에 대한 예우 역시 계승하였다. 1920년 4월에는 왕세자 이은과 일본 황녀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 간의 성혼에 기여한 공로로 백작으로 승작하였다.

고희경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2004년 10월 29일 공포된 대통령령 제18571호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7·9·19호에 해당되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IV-1: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452~464)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매일신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1(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대한제국관원이력서』(국사편찬위원회, 1972)
『朝鮮紳士名鑑』(牧山耕蔵 編, 日本電報通信社 京城支局, 1911)
『朝鮮功勞者銘鑑』(阿部薰 編, 民衆時論社, 1935)
집필자
이병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