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전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시대, 국가 또는 왕실에 특별한 공훈이 있어 공신으로 책봉된 신하에게 수여한 토지.
내용 요약

공신전(功臣田)은 국가 또는 왕실에 특별한 공훈이 있어 공신으로 책봉된 신하에게 수여한 토지이다. 고려 말 이래 조선의 공신전은 주로 개국과 왕위 계승 과정에 공로를 세운 공신에게 지급되었다. 공신전은 과전법에서 다른 사전(私田)과 달리 세가 면제될 뿐만 아니라 자손에게 승계할 수 있는 특권을 갖는 토지였다. 면세의 특권은 태종대에 소멸되었으나, 공신전의 세습은 세종대에 제한하는 조치가 마련되었음에도 세조대 이후 유명무실해져 『경국대전』에서 기본적으로 자손에게 상속이 허용된 토지로 규정되었다.

키워드
목차
정의
고려 · 조선시대, 국가 또는 왕실에 특별한 공훈이 있어 공신으로 책봉된 신하에게 수여한 토지.
내용

국가가 공신에게 특별한 혜택으로 토지를 지급한 조치는 고려 태조의 삼한공신개국공신에게 지급한 훈전(勳田)에서 시작되었다. 고려 초의 훈전은 그 뒤 전시과(田柴科) 제도가 정비되면서 공음전시(功蔭田柴)로 변화했는데, 공음전시와 고려 말 이후의 공신전은 그 성격상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즉 고려의 공음전시는 비록 그 연원이 국초의 훈전이었지만, 정착된 법규에서는 5품 이상의 양반 관료에게 일정량의 토지를 지급한 것이었다. 이와 달리 고려 말 이래 조선의 공신전은 주로 개국과 왕위 계승 과정에 공로를 세운 공신에게 지급된 것이었다. 조선 건국 이후 태조 때의 개국공신(開國功臣) · 원종공신(原從功臣) · 회군공신(回軍功臣) · 정사공신(定社功臣), 태종 때의 주5 · 원종(原從) 공신 등 많은 공신을 책봉하면서 건국 초기의 10년간에 지급된 공신전의 총액은 약 45,000여 결에 이르렀다.

건국 초기 공신전의 과다한 지급은 이를 충당할 토지의 부족을 초래하여 군자전(軍資田)을 떼어 공신전을 지급하기에 이를 지경이었다. 국가에서는 공신전으로 지급된 토지를 군자전으로 환원하고 공신전을 줄이려고 노력하였다. 태종 2년(1402) 공신전이 31,240결로 줄었고 그 이듬해에는 다시 21,200여 결로 줄었다. 그러나 그 후에 공신전이 새로 지급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태종 11년(1411)의 원종공신전(原從功臣田) 1,680결, 단종 1년(1453)의 정난공신전(靖難功臣田) 1,720결, 세조 1년(1456)의 좌익공신전(佐翼功臣田) 4,190결, 세조 13년의 적개공신전(敵愾功臣田) 4,580결 등의 지급이 이어졌다. 그 뒤에도 1728년(영조 4)의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이르기까지 무려 28차례나 공신 책봉이 있었지만, 중종 때 이후에는 공신이 책봉될 때 공신전이 함께 지급되었다는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과전법에서는 이성계를 비롯한 이들이 이른바 폐가입진(廢假立眞)의 공이 있다고 하여 공양왕 즉위년(1389) 12월에 중흥공신(中興功臣)으로 책봉되고 공신전을 받은 사례에 대해 과외(科外)로 자손에게 주20하도록 허용하는 조항이 마련되었다. 과전법에서 공신전에 대한 자손 상전의 특별한 우대 규정을 둔 것은 이후 공신전의 세습을 공인하는 길을 열어 놓게 되었다. 이후 1440년(세종 22년)에 이르러 이후로는 공신전은 자신에게 그치고 자손에게 세전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그렇지만 세조 즉위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공신이 책봉되는 과정에서 세종 때 마련한 공신전의 제한적 세습 허용 원칙이 유명무실해진 것으로 보인다.

공신전은 원래 과전법에서부터 다른 사전(私田)과 달리 세가 면제되었다. 그러나 1402년(태종 2)에 이르러 공신전도 주12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면세의 특권은 사라졌으나, 『경국대전』에서 공신전은 기본적으로 자손에게 상속이 허용된 토지로 규정하고 있는데, 적자 혹은 양첩(良妾)의 자손이 상속할 경우 그 전액을 인정하고, 주13의 자손에 대해서는 제사를 주관할 수 있도록 30결만을 지급하도록 하였다.

공신전은 사전이었으므로 경작자인 농민으로부터 전주인 공신이 직접 수세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성종 때 주8가 시행되면서 주9의 수취와 주14을 관이 대신하게 되었고, 흉년 · 군자 등의 이유로 자주 그 전조의 분급이 이루어지지 않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경국대전』

단행본

강진철, 『고려 토지제도사 연구』(고려대학교 출판사, 1980)
김옥근, 『한국 토지제도사 연구』(대왕사, 1980)
이성무, 『조선초기양반연구』(일조각, 1980)
김태영, 『조선전기 토지제도사 연구』(지식산업사, 1983)
한영우, 『조선전기 사회경제 연구』(을유문화사, 1983)
이경식, 『조선전기 토지제도사 연구』(일조각, 1986)
강진철, 『한국중세 토지소유 연구』(일조각, 1989)

논문

김광수, 「고려태조의 삼한공신」(『사학지』 7, 단국사학회, 1973)
이정수, 「조선초기 공신전의 운영양태-조온 공신전권을 중심으로-」( 『부대사학』 15·16, 1992)
홍승기, 「고려초기의 녹읍과 훈전」(『사총』 21·22, 고대사학회, 1977)
深谷敏鐵,「科田法から職田法へ(下)」(『史學雜誌』 51-10, 1940)
주석
주1

정공신(正功臣) 이외의 작은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공신 칭호. 우리말샘

주2

군사를 돌이켜 돌아가거나 돌아옴. 우리말샘

주3

나라의 사직(社稷)을 정하던 일. 우리말샘

주4

새로 나라를 세움. 우리말샘

주5

임금을 도움. 우리말샘

주8

조선 성종 원년(1470)에, 관아에서 직접 농사를 짓는 농민에게 전조를 수취하여 현직 관료인 땅 주인에게 지급하던 제도. 우리말샘

주9

고려 시대의 전시과나 조선 시대의 과전법에서 수조권자가 경작자에게서 받는 일종의 토지 사용료. 수확량의 약 1/10 정도를 낸다. 우리말샘

주10

나라가 처한 병란이나 위태로운 재난을 평정함. 우리말샘

주11

적에 대한 분노와 증오. 우리말샘

주12

세금을 면제함. 우리말샘

주13

종이나 기생으로서 남의 첩이 된 여자. 우리말샘

주14

각각의 몫에 따라 나누어 줌. 우리말샘

주15

조선 세조 1년(1455)에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44명에게 내린 훈호(勳號). 우리말샘

주16

위화도 회군을 주도한 자들에게 준 칭호.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첫 번째 책봉이 단행되었고, 조선 개국 후에 재책봉되었다. 우리말샘

주17

나라를 새로 세울 때 큰 공로가 있는 신하. 우리말샘

주18

정공신(正功臣) 이외의 작은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공신 칭호. 우리말샘

주19

조선 태조 7년(1398)에 일어난 제일 차 왕자의 난을 평정한 공신에게 내린 훈호(勳號). 정종 때에 방의(芳毅)ㆍ방간(芳幹)ㆍ방원(芳遠) 등 12명에게 일등 공신을, 심종(沈悰)ㆍ이지란 등 17명에게 이등 공신의 책록을 내렸다. 우리말샘

주20

대대로 이어져 전함. 또는 서로 전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