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팔해경 ()

불교
문헌
조선 후기, 승려 긍선(亘璇, 1767~1852)이 『금강경』에 대한 팔가(八家)의 해석에 대해 복주(複註)한 불교 주석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말기
편저자
긍선(亘璇, 1767~1852)
권책수
2권
판본
필사본
소장처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강경팔해경(金剛經八解鏡)』은 조선 후기 승려 긍선(亘璇, 1767~1852)이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와 삼가를 합쳐 복주(復註)를 달고 해설한 책이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에서는 임제삼구(臨濟三句)를 통하여 일체의 선종(禪宗)과 오가종(五家宗)에 관해 설하였고, 제2부에서는 팔가해의 내용을 주석하고 있다. 『금강경』은 모든 언설과 명상(名相)을 떠난 무상(無相) · 무주(無住)의 이치를 밝히고 있는데, 이 책은 기존 선(禪)의 모든 개념을 총망라하여 위계적으로 해석하였다는 특징을 보인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승려 긍선(亘璇, 1767~1852)이 『금강경』에 대한 팔가(八家)의 해석에 대해 복주(複註)한 불교 주석서.
내용

『금강경팔해경(金剛經八解鏡)』은 2권으로 이루어진 필사본(筆寫本)이다. 이 책은 부대사(傅大士, 497569)의 찬(贊)과 혜능(慧能, 638713)의 구결(口訣), 종밀(宗密, 780841)의 찬요(纂要), 야보(冶父, 생몰년 미상)의 송(頌), 종경(宗鏡, 904∼975)의 제강(提綱) 등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와 조선 초기에 이 『오가해』를 요약 · 해설한 기화(己和, 1376∼1433)설의(說誼), 양나라 소명태자(昭明太子, 501531)의 32분장(分章) 그리고 자선(子璿, 965~1038)의 『금강경간정기(金剛經刊定記)』를 합쳐서 편찬한 책이다.

1833년(순조 33년) 긍선이 『금강경오가해』와 기화, 소명태자, 자선의 삼가를 합친 팔가해에 복주(復註)를 달고 해설한 『금강경팔해경』은 '팔가의 견해를 비추어 보는 비판적 주석'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오가해의 합편이 고려 말부터 전해온 것과 달리 팔가해의 합편은 긍선이 편찬한 이 책이 최초이다.

『금강경팔해경』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임제3구(臨濟三句)를 통해 일체의 선교(禪敎)와 중국의 오종선문(五宗禪門)을 단계적으로 파악하였다. 백파는 임제3구를 3종선에 대응시켜 제1구를 조사선(祖師禪), 제2구를 여래선(如來禪), 제3구를 의리선(義理禪)으로 간주하고, 조사선에 임제종(臨濟宗)과 운문종(雲門宗), 여래선에 법안종(法眼宗) · 위앙종(爲仰宗) · 조동종(曹洞宗), 의리선에 하택종(荷澤宗)을 배당하고 있다. 조사선은 불립문자, 교외별전(敎外別傳), 직지인심, 견성성불(見性成佛)을 표방한다. 의리선은 이성적으로 사량(思量)을 분별하여 화두를 간택하는 것이다. 여래선은 참선을 통해 공의 도리를 보아 절대 평등 평계에 이른 것이다.

제2부에서는 팔가해의 중요한 내용을 주석하였는데, 이때 임제3구를 해석의 척도로 삼아 삼처전심(三處傳心) · 삼현(三玄) · 삼요(三要) 등 선종 사상에 나오는 다양한 개념들을 단계적으로 조직화하여 각각의 구에 배치하였다.

의의 및 평가

『금강경』은 모든 언설과 명상(名相)을 떠난 무상(無相) · 무주(無住)의 이치를 밝힌 책이다. 『금강경팔해경』은 기존 선(禪)의 모든 개념을 총망라하여 위계적으로 해석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3종선에 대한 해석은 훗날 조선 불교사에서 큰 논쟁거리가 되었다. 이 책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연구(韓國佛敎思想硏究)』(일지사, 1980)
忽滑谷快天, 정호경 역, 『조선선교사(朝鮮禪敎史)』(보련각, 1978)
고교형, 『이조불교』(보문관, 1929)

단행본

논문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