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거사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 문인 김극기(金克己)의 시가와 산문을 수록한 시문집.
이칭
이칭
김한림집(金翰林集), 김원외집(金員外集)
문헌/고서
저자
김극기
내용 요약

『김거사집』은 고려 후기 문인 김극기(金克己)의 시가와 산문을 수록한 시문집이다. 현재 일부를 잃어버려 전체 모습을 알 수는 없지만, 『보한집』·『동문선』·『신증동국여지승람』·『대동운부군옥』에 350여 작품이 실려 전한다. 김극기는 장편 시에 능하였고, 교묘한 시구를 엮어가는 데에 능하였다고 평가된다.

정의
고려 후기, 문인 김극기(金克己)의 시가와 산문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사항

책의 이름은 『 동문선(東文選)』을 비롯하여 『역옹패설(櫟翁稗說)』, 『용재총화(慵齋叢話)』 등에서 『김거사집』으로 지칭하고 있다. 『보한집(補閑集)』에서는 『김한림집(金翰林集)』으로 일컫고 있다.

135권의 방대한 양이었으나 일부를 잃어버려 전체 모습을 알 수 없다. 이인로(李仁老)가 쓴 서문이 『동문선』 권 83에 전하는데, 여기에서는 『김거사집』을 총 135권이라 하였다. 조운흘(趙云仡)『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에서는 본집 150권이라 하였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김거사집』을 137권이라 하고 권은 마땅히 편이 되어야 한다고 주석을 달아 놓았다.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편찬한 『조선문학사』(천지, 1989)에는 김극기(金克己)의 문집이 『김원외집(金員外集)』으로 소개되었고, 지금까지 전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사실 여부는 알 수 없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김거사집』 서문에 따르면 이 책은 최우(崔瑀)에 의해, 김극기가 생전에 남긴 저서를 정리하여 주5 · 율시(律詩) · 주6과 잡문 등 135권으로 편찬 · 간행되었다.

『용재총화』 권 8에 “『김거사집』 몇십 권은 원외랑(員外郞) 김극기가 지은 것으로, 옛 판이 교서관(校書館)에 있으나 반은 깎였다.”라는 내용에 비추어 보면, 적어도 조선 전기까지는 어떤 형태로든 남아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일부를 잃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구성과 내용

이 문집의 방대한 작품들은 여러 문헌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보한집』에 17편, 『동문선』에 58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215편, 『동인지문사륙』에 62편 등 총 352편이 실려 있다. 이외에 『동인지문오칠』에 14수, 『삼한시귀감』에 37수, 『청구풍아』에 19수, 『기아』에 26수, 『대동시선』에 20수, 『해동시선』에 5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대부분 『동문선』과 중복된다. 『대동운부군옥』에 130여 작품이 있는데 대부분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작품과 중복된다.

『김거사집』의 전체 내용은 알 수 없지만, 『보한집』에 “내가 우연히 『김한림집』 제2권을 얻어 보았다. 권머리의 「궁사(宮詞)」 여덟 수는 모두 옛 사람이 이미 말한 것이다. 또한 말이 얕고 좁아서 마음 속으로 적이 얕잡았었다.”, “그 뒤에 다시 제8·9권을 보았더니, 청아한 말이 넓고 넓어 아무리 퍼내어도 끝이 없을 것 같았다.”라고 하였다. 『김거사집』 제2권과 제8·9권에 국한된 이 언급을 통해, 문집이 양적으로 방대할 뿐만 아니라 내용도 매우 깊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장편, 거운(巨韻)이 많고 궁중 일이나 부귀에 관한 것은 어쩌다가 있었다.”라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면, 김극기가 장편 시에 능하였고 『김거사집』에 수록된 작품의 내용은 궁중에 관한 일이나 부귀에 관한 것만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허균(許筠)은 김극기의 시가 '운사극교(運思極巧)'하다고 하였다. 이는 시구를 엮어가는 과정에서 작가의 응용력과 상상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창조적 활용도 뛰어나다는 말로 풀이된다.

참고문헌

원전

『동문선(東文選)』
『보한집(補閑集)』
『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

단행본

김건곤, 『김극기유고』(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김일성종합대학, 『조선문학사』(천지, 198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지식산업사, 1983)
주석
주1

잃어버리거나 놓침. 우리말샘

주2

큰 주석 아래에 더 자세히 단 주석. 우리말샘

주3

글이나 글씨를 자기 손으로 직접 씀. 우리말샘

주4

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 우리말샘

주5

글, 그림, 글씨 따위의 옛날의 모양이나 양식. 우리말샘

주6

중국의 육조와 당나라 때 성행한 한문 문체. 문장 전편이 대구로 구성되어 읽는 이에게 아름다운 느낌을 주며, 4자로 된 구와 6자로 된 구를 배열하기 때문에 이렇게 이른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