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무덤

선사문화
개념
지하에 묘광을 파고 시신을 큰 독이나 항아리 등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양식.
이칭
이칭
옹관묘(甕棺墓)
내용 요약

독무덤은 지하에 묘광을 파고 큰 독을 널로 사용한 무덤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큰 독을 널로 사용하지만 시대와 지역에 따라 항아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독무덤을 넓은 의미로 정의하면, 어떤 형태를 갖추고 있든지 흙으로 빚은 토기에 주검이나 뼈를 묻는 무덤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독무덤은 신석기시대부터 등장하여 삼국시대, 특히 마한·백제권역의 영산강 일대에서 그 정점을 찍게 된다. 남북국시대 이후에는 점차 소멸하지만 조선시대까지 그 명맥은 잔존한다.

정의
지하에 묘광을 파고 시신을 큰 독이나 항아리 등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양식.
개요

독무덤이란 지하에 주1을 파고 시신을 나무널[木棺]이나 돌널[石棺]이 아닌 큰 독[甕]에 넣어 묻은 무덤 양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큰 독을 널로 사용하지만 시대와 지역에 따라 항아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독무덤을 넓은 의미로 정의하면, 어떤 형태를 갖추고 있든지 흙으로 빚은 토기에 주검이나 뼈를 묻는 무덤 양식[甕棺墓]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독무덤과 대비하여 뼈만을 추려서 묻는 것을 뼈단지(骨壺), 기와를 사용한 것을 기와널[瓦棺]이라 부르기도 한다. 독무덤은 세계 각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시기와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이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중국에서는 신석기시대인 양사오[仰韶]문화의 시안[西安] 반파촌(半坡村) 유적에서 조그마한 항아리에 뚜껑을 덮어 수직으로 매장한 형태가 발견되었다. 일본에서도 독무덤은 신석기시대인 조몬[繩文]시대 중기부터 등장한다.

변천과 형태의 특징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 유적인 진주 상촌리와 부산 동삼동 패총[조개무덤]에서 독무덤이 발견되었다. 상촌리의 독무덤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던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를 이용하였는데, 주거지의 바닥을 파고 수직으로 묻혀 있었으며, 독 내부에서 사람의 것으로 추정되는 뼈 조각이 담겨 있었다.

동삼동 패총의 독무덤은 주2 내에서 발견되었으며 상촌리의 것보다 이른 시기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청동기시대에 접어들면 독무덤은 고인돌[支石墓], 돌뚜껑움무덤[石盖土壙墓], 돌널무덤[石棺墓]과 함께 우리나라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무덤 양식 중의 하나로 자리를 잡게 된다.

독은 주로 송국리식(松菊里式) 일상 용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익산 석천리 유적에서 발견된 것은 직립구연(直立口緣)에 골아가리무늬[口脣刻目文]가 새겨진 토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 시기의 독무덤은 전통적으로 독의 구연부를 납작한 깬돌이나 판돌로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독의 상부를 토기편이나 소형의 발형토기로 덮는 구조가 발견되고 있다. 후자의 예로 논산 마전리 6호와 22호, 익산 화산리 B1호와 B2호, 익산 무형리 지표수습 독무덤을 들 수 있다.

독의 바닥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구멍은 배수(排水)나 방습(防濕), 혹은 의례 행위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청동기시대의 독무덤은 독의 안치 방법에 따라 독을 수직으로 세우는 직치(直置)와 비스듬히 눕혀서 안치하는 사치(斜置)로 나눌 수 있다.

토기로 구연부를 막는 독무덤은 거의 모두 사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에 비해 납작한 돌로 막는 안치 방법은 직치와 사치가 비슷한 비율로 발견되고 있다.

독무덤은 부여 송국리, 공주 남산리 · 산의리 · 송학리 · 안영리, 익산 석천리 · 무형리, 논산 마전리, 군산 아동리 등 주로 금강 유역 일대에서 돌널무덤, 석개토광묘 등과 함께 발견되지만, 이 외에도 영암 장천리, 곡성 연화리, 거창 대야리 등지에서도 확인된다. 주3는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간헐적으로 대롱옥이 발견된다.

이 시기의 독은 크기나 형태로 볼 때 유 · 소아 전용의 무덤이거나 '성인의 시체를 썩혀 탈육된 유골을 안치[洗骨葬]'하기 위한 무덤으로 판단된다.

철기시대에 접어들면 청동기시대의 독무덤도 일부 지역에 잔존하지만, 중국 북방 지역의 문화가 유입되면서 장법, 사용 토기, 분포 지역에서 청동기시대와 커다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먼저 이 시기의 독무덤은 '옆으로 뉘어 안치[橫置]'한다는 점에서 청동기시대와 대조된다. 또한 이용된 독의 수에 따라 1옹식, 2옹식, 3옹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2옹 합구식(合口式)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독무덤의 사용 토기로는 점토대토기 옹과 봉형이나 우각형의 파수를 지닌 호가 주로 사용되고, 이 외에도 점토대토기 발, 외반구연 호, 시루가 이용되었는데, 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던 것을 널로 재사용한 것이다.

독무덤의 피장자는 유아나 어린이일 가능성도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형식인 2옹식이나 3옹식의 크기, 50기 이상이 발견된 광주 신창동의 예로 볼 때, 성인이 매장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청동기시대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에도 화장이나 세골장의 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철기시대의 독무덤은 북한과 남한 지역의 섬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발견된다. 대표적인 유적으로 황해도 명사리, 평양 남경, 보령 관창리, 광주 신창동, 삼천포 늑도, 의창 다호리, 김해 회현동 등을 들 수 있다.

영남 지방과 일본 야요이시대의 독무덤은 그 형태적 유사성과 당시의 국제 정세로 볼 때, 양 지역 간에 긴밀한 문화적 교류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초기 국가 시대의 독무덤의 형태는 이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1옹식, 2옹식, 3옹식이 나타나지만 2옹식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1옹식으로는 독이나 항아리가 주로 사용되고 막음용의 뚜껑으로 항아리, 시루, 바리, 화로 모양 토기 등이 사용된다. 2옹식과 3옹식 역시 독이나 항아리가 주로 이용된다.

독을 안치하는 방법으로는 횡치(橫置)가 일반적이다. 직치 방식도 일부 발견되는데, 3∼4세기대 영산강 유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된다. 예를 들어 장성 상방촌B, 함평 만가촌, 나주 용호 · 양천리 영천 · 영동리 · 동곡리 횡산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초기 국가 시대의 독무덤은 독립적으로 분포하기도 하지만 나무널무덤이나 돌덧널무덤과 함께 자주 발견된다. 또한 중심 무덤에 부수되어 나타나는 딸린무덤(陪葬墓)적인 성격을 보이는 독무덤도 널리 유행한다. 이 시기 독무덤은 크기나 무덤의 배치 상태로 볼 때 대부분 유 · 소아용이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세골장이나 주4의 형태로 매장된 성인의 분묘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이 시기의 독무덤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는데, 중요 유적으로는 대동강 유역의 정백동 · 장진리, 한강 유역의 몽촌토성 · 가락동 · 석촌동, 진변한 권역의 대구 팔달동 · 경주 조양동 · 부산 노포동 · 동래 낙민동 · 창원 삼동동 유적 등을 들 수 있다.

독무덤은 특히 마한 권역에서 집중 분포하는데, 이러한 독무덤의 전통은 삼국시대 영산강 유역에서 그 절정을 이루게 된다. 가야 권역에서도 그 수는 많지 않지만 남원 두락리 유적처럼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삼국시대의 독무덤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지만 영산강 유역권에서는 그 수가 급증하면서 크기도 대형화된다.

또한 사용된 독널의 종류에 따라 두 갈래의 길을 걷게 되는데, 하나는 고분이 축조되면서 주된 묘제에 부수되어 나타나거나 독립 형태로 조영되더라도 일상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대용관(代用棺)]이고, 또 다른 하나는 대형의 고분 그 자체로 발전하면서 무덤 전용의 토기를 제작하여 조영하는 경우[전용관(專用棺)]이다. 전자의 경우 대부분이 소형이고 실제로 유아의 인골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어, 유 · 소아용의 주검에 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형의 전용 독무덤은 금강 하류와 전북의 서해안 일대, 낙동강 일대에서도 일부 나타나지만 고창을 포함한 영산강 일대에 집중 분포한다. 후자 지역의 대표 유적으로는 나주 덕산리 · 신촌리 · 대안리, 영암 내동리 · 옥야리 등을 들 수 있다.

영산강 일대의 독무덤은 봉토의 형태도 다양한데, 원형이 많지만 방대형이나 장타원형, 장고형도 일부 발견된다. 영산강 유역의 전용 독널은 3세기경 선황리식에서 출발하여 점차 ‘U’자형의 대형 독널로 변화하고, 묘역 내 공간 배치에서도 대체로 목관 주변→목관 · 옹관 병행→옹관 전용의 순서로 발전한다.

4세기 이전 전용 독무덤의 주인공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출토 유물과 공간적 배치로 보았을 때 목관 피장자보다는 신분이 낮았을 것으로 주장된다. 그러나 4세기 이후 독널 고분 단계에 이르면 사회적 지위가 높은 자가 독무덤의 주인공이 되는데, 나주 신촌리 9호분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나주 신촌리 9호분의 독무덤에서 발견된 금동관, 금동신발, 장식대도, 분주(墳周) 토기 등은 왕릉급에 버금가는 피장자의 정치적 위상과 백제 · 왜와의 대외관계를 시사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남북국시대 이후 독무덤은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그 명맥은 이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독무덤은 경주 용강동의 통일신라기 고분군 속에서 발견된 바 있고, 화장(火葬) 후의 뼈를 항아리에 매장하는 골호(骨壺)도 일부 확인된다.

또한 공주 마암리 유적에서는 고려시대의 장방형 도관(陶棺)이 발견되었고, 천안 청당동에서 고려시대의 독무덤이 발굴 조사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생활용기인 독그릇을 이용하여 독무덤을 축조한 전통이 드물게 발견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고고학전문사전-청동기시대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특별전 한국의 옹관묘』(국립광주박물관, 1992)

논문

김승옥, 「분묘」(『마한고고학개론』, 진인진, 2018)
주석
주1

무덤 칸이나 곽 또는 관을 넣기 위하여 판 구덩이를 통틀어 일컫는 말.

주2

땅 표면에서 아래로 파 내려간 구멍. 고대인들이 주거 양식으로 이용하기도 하였음.

주3

장사 지낼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주4

장사를 지내고 일정 기간 뒤에 시신을 다시 옮겨 묻는 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