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권 20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 · 간년은 알 수 없으나, 편찬 방법과 내용으로 미루어 조선 후기에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역사 · 정치 · 문화 · 경제 등 각 분야의 문헌 중에서 중요한 것을 가려 그 대강(大綱)과 조목(條目)으로 나누어 열람에 편리하도록 편집하였다.
권1은 국조(國朝) · 사전(祀典), 권2∼4는 사전, 권5·6은 사대(事大), 권7∼11은 관직(官職), 권12∼14는 정교(政敎), 권15는 문예(文藝), 권16은 천문(天文), 권17은 지리(地理), 권18·19는 변어(邊圉), 권20은 역대(歷代)의 순으로 엮어졌다.
내용을 보면 「국조」편에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연표를 필두로 비빈(妃嬪) · 종실(宗室) 등 8개항, 「사전」편에는 종묘(宗廟) · 사직(社稷) · 제향(祭享) 등 각종 제사에 관한 23개항, 「사대」편에는 빈사(儐使) · 역설(譯舌) · 부경도로(赴京道路) 등 우리나라와 중국과 관계된 8개항으로 구성되었다.
「관직」편에는 의정부(議政府) · 비변사(備邊司)에서 액례(掖隷) · 이서(吏胥)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관제와 직제 및 각 관아의 명칭 · 기구 · 주관 업무 등 78개항, 「정교」편에는 전제(田制) · 조세(租稅) · 전화(錢貨) · 병제(兵制) · 균역(均役) · 금령(禁令) · 노비(奴婢) · 승교(僧敎) 등 정치와 사회의 각 분야에 걸쳐 그 제도와 형태 · 상황 등 39개항을 싣고 있다.
「문예」편에는 문장 · 필법에서 『경국대전』 · 병서류(兵書類)에 이르기까지 당시 우리나라의 전적(典籍)에 관한 14개항, 「천문」 · 「지리」편에는 천체의 현상과 지리적 조건 등, 「변어」편에는 성지(城池) · 관방(關防)에서 왜국 · 유구(琉球) 등에 이르기까지 국방 문제와 주변의 나라에 관한 사항 등을 수록하였다.
끝으로 「역대」편에는 단군조선부터 발해국까지 그 역대와 연대, 그리고 왕조 · 도읍지, 당시의 강역 · 정치형태 · 풍속 · 사상 및 외국과의 관계 등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특히, 삼국시대의 신라 · 고구려 · 백제의 각 속국에 관한 기록과 발해국에 관한 기록, 또는 동국지방(東國地方) · 기화(氣化) 등의 제목으로 편자의 견해를 피력한 논(論) 등은 우리의 역사 · 지리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