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주칠얼레빗
주칠얼레빗
의생활
물품
머리털을 가지런히 빗어 내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
목차
정의
머리털을 가지런히 빗어 내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
내용

머리카락에 기름을 바르는 데도 쓰였으며, 때와 비듬을 제거하는 데도 이용되었다. 또 뒷머리에 꽂아 장식을 하는 데도 쓰였다. 빗살은 주1를 잘게 쪼개든가 나무 · 뿔붙이 등을 에어 내어 만드는데 요즈음에는 주2나 금속으로도 만든다.

빗은 일찍이 낙랑유적에서 목재로 된 것이 발견되었고, 삼국시대 고분에서도 대모로 만든 것이 발견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는 특이한 형태의 대모로 만든 장식빗이 전한다.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는 빗을 뒷머리에 꽂고 다니기도 하였기에 장신구의 일종으로도 사용된 것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빗을 잃으면 정조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고 빗을 주는 행위는 주3을 의미하였기에 빗을 머리에 꽂는 관습은 사라졌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도 빗에다가 주4 · 주5 · 조각 등을 베풀어 예쁘게 세공하였으며, 부녀자의 애장품으로 귀하게 다루었다.

빗의 종류에는 얼레빗 · 참빗 · 주6 · 주7 · 주8 · 살쩍밀이 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용도나 크기, 모양이 다르다. 옛날 여인들은 긴 머리채를 얼레빗으로 대강 빗은 다음 참빗으로 정성을 다하여 빗어 내렸고, 곱게 땋아 쪽을 진 다음에는 면빗으로 주9을 빗어 넘겨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는 단정한 모습을 하였다.

각 빗의 용도와 형태는 다음과 같다. ① 얼레빗 : 빗살이 성긴 큰 빗으로 월소(月梳)라고도 하며 엉킨 머리를 대충 가지런히 할 때에 사용된다. 반월형 또는 각형의 등마루에 빗살이 한쪽에만 성글게 나 있는 형태이다. 오늘날에도 짧게 깎은 머리나 퍼머넌트한 머리를 가볍게 빗어 넘기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② 참빗 : 빗살이 아주 가늘고 촘촘한 대빗으로 진소(眞梳)라고도 한다. 머리를 정갈하게 다듬는 데 사용하며 크기에 따라 대소 · 중소 · 어중소 · 밀소로 구분한다. 이 중에서도 중소가 가장 많이 쓰였는데 머리형태의 변화와 더불어 요즈음에는 일상생활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 되었다. ③ 면빗 : 살쩍을 빗어 넘기는 데 쓰이는 작은 빗으로 면소(面梳)라고도 한다.

④ 음양소 : 빗살이 한쪽은 성기고 한쪽은 빽빽한 빗으로 다용도로 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빗은 근래에도 볼 수 있는데 주로 남자들이 머리 정리에 사용하고 있다. ⑤ 상투빗 : 상투를 틀 때 머리털을 정리하던 조그마한 얼레빗 모양의 것이다. ⑥ 살쩍밀이 : 망건(網巾)을 쓸 때에 빠져 나온 살쩍을 망건 밑으로 밀어 넣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대나 뿔로 얇고 갸름하게 만들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정한 차림을 중시하여 매일 아침의 첫 일과는 빗질로 시작되었으며, 머리카락 한 올이라도 흐트러짐이 없도록 하였다. 그리고 건강수단으로 하루에 50∼100회의 빗질이 권장되기도 하였다. 상중(喪中)에는 빗질과 세발을 하지 않았다. 또 빗은 대부분 경대에 담아두고 사용하였는데 따로 빗접을 만들어 이에 보관하기도 하였다. 외출 시에는 아주 작게 만들어 휴대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0)
『한국화장문화사』(전완길, 열화당, 1987)
주석
주1

가늘게 쪼갠 댓개비. 우리말샘

주2

나이트로셀룰로스에 장뇌와 알코올을 섞어서 만든 반투명한 합성수지. 90℃ 이상에서 유연하게 되나, 냉각하면 굳어지고 발화하기 쉬운 것이 결점이다. 장난감, 필름, 문방구, 장신구, 일용품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쓴다. 1869년에 미국의 하이엇(Hyatt) 형제가 발명하였다. 우리말샘

주3

혼인을 허락함. 우리말샘

주4

누런색이 조금 섞인 붉은색의 칠. 우리말샘

주5

목기(木器) 세공품을 곱게 하는 각질(角質) 공예 기법. 또는 그 제품. 색을 칠하여 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쇠뿔을 아주 얇게 오려 덧붙인다. 베갯모, 참빗, 자 따위에 응용된다. 우리말샘

주6

관자놀이와 귀 사이에 난 머리털을 빗어 넘기는 작은 빗. 우리말샘

주7

빗살이 한쪽은 성기고 한쪽은 촘촘한 빗. 우리말샘

주8

상투를 틀어 올릴 때 쓰는 빗. 우리말샘

주9

관자놀이와 귀 사이에 난 머리털.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6)
집필자
강순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