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관명.
제도/관직
설치 시기
삼국시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상가(相加)는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관명이다. 고구려를 구성한 나부의 수장으로 보거나, 제가회의의 주재자인 국상과 동일한 관직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제가회의의 장인 상가와 군신회의의 장인 국상을 구분하여 이해하거나, 군신회의의 장인 상과 토착 수장을 가리키는 가로 분리해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관명.
내용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 고구려조에 나열된 고구려의 관명(官名) 가운데 제일 먼저 기재되어 있다. 해당 기사에서 관명의 기재 순서는 대체로 제도로 정비된 고구려 초기 관명의 상대적인 서열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상가가 제일 먼저 기재된 것은 찬자(撰者)의 이해 속에서 상가가 당시 고구려 관제상 최고의 위상과 직능을 가졌던 것으로 받아들여졌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가라는 명칭 외에는 그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다른 기록이 없어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다.

성격

상가의 성격에 대해서는 상(相)이 이끈다는 의미이고, 가(加)가 수장으로서 의미를 갖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가 이루어졌다. 초기 고구려를 구성한 나부의 수장으로 보거나, 고구려의 지배자 집단을 이룬 대수장층을 우대하는 위호(位號)로 보기도 하고, 제가회의(諸加會議)의 주재자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상가를 제가회의의 장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대체로 상가를 『 삼국사기(三國史記)』 고구려본기에 등장하는 국상(國相)과 같은 실체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고위 관등인 대로(對盧)와 패자(沛者)보다 상위에 기록된 상가는 최고위 관직(官職)인 국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주장이다. 상가를 제가회의의 장으로 파악하면서도 국상에 대해서는 군신회의(群臣會議)의 장으로 보아 별개의 실체로 보는 견해도 있다.

한편 상가를 하나의 관명으로 보지 않고, 상과 가로 구분해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상은 국왕의 신료로서 성격을 갖는 표현이고, 가는 독자적인 수장층을 의미하기 때문에 분리해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상은 군신회의의 주재자인 국상이라고 보고, 가는 토착의 수장층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지(三國志)』

단행본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금경숙, 『고구려 전기 정치사 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사계절, 1999)

논문

김광수, 「고구려 고대집권국가의 성립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이종욱, 「고구려 초기의 중앙정부조직」 (『동방학지』 3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82)
노중국, 「고구려국상고 (上)・(下)」 (『한국학보』 16・17, 일지사, 1979)
이종욱, 「고구려 초기의 좌·우보와 국상」(『전해종화갑기념사학논총』, 일조각,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