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관명으로, 국가 차원의 관등(官等)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대가(大加) 예하 실무 조직의 직명(職名)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 고구려조에는 국왕뿐만 아니라 대가들도 사자(使者), 조의(皂衣), 선인(先人)을 둘 수 있다고 하였다. 초기 고구려는 독립된 정치체들의 누층(累層)적 결합으로 이루어졌다고 파악되며, 고구려를 구성한 각급의 정치체들은 각각 통치의 실무를 담당하는 조직을 갖추었을 것이다. 대가 예하의 사자, 조의, 선인이 바로 그것이다.
사자의 성격에 대해서는 계루부가 다른 나부를 견제하기 위하여 설치한 직책이자, 다른 한편으로는 나부의 중심세력이 부 내의 다른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설치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조세(租稅)를 수취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보기도 한다. 대가의 실무 조직은 국가 권력의 수립과 왕권의 확대 과정에서 고구려 국가 차원의 조직으로 개편되었고, 이 과정에서 사자의 관명도 대사자(大使者)와 사자로 분화되어 고구려 관등 체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된 것으로 이해된다.
사자계 관등은 중후기 관등제의 정비 과정에서 태대사자(太大使者), 대사자, 발위사자(拔位使者), 상위사자(上位使者) 등으로 분화되었다. 한편 부여(夫餘)에서도 사자, 대사자, 대사 등 사자계 관명이 확인된다. 계루부 왕실을 포함한 다수의 부여계 세력 집단이 고구려의 국가 형성에 참여하고 있었던 사실과 관련하여 부여의 관제가 고구려 관제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