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군읍지 ()

목차
관련 정보
선천군읍지
선천군읍지
인문지리
문헌
평안도 선천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54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목차
정의
평안도 선천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54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내용

3권 1책. 대형의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宣川郡邑誌附地圖(선천군읍지부지도)’로 되어 있다. 이 읍지는 상·중·하 3권으로 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상권에 연혁(沿革)·군명(郡名)·관원(官員)·강계(疆界)·산천(山川)·해도(海島)·사찰(寺刹)·방리(坊里)·토산(土産)·제언(堤堰)·정각(亭閣)·공해(公廨)·호총(號摠)·결총(結摠)·채총(債摠)·곡총(穀摠)·군총(軍摠)·마총(馬摠)·방영고(防營庫)·군기질(軍器秩)·천안(賤案)·방영장관(防營將官)·균역소(均役所)·동림성(東林城)·좌현장성(左峴長城)·연대(烟臺)·검산성(劍山城)·감역(監役)·출의(出義)·성첩(城堞)·군기(軍器)·산성장관(山城將官)·학규(學規)·학규절목(學規節目)·향교(鄕校)·책질(冊秩)·제기(祭器)·제복(祭服)·남서원(南書院)·북서원(北書院)·충렬사(忠烈祠)·충민사(忠愍祠)·팔의사배향사적(八義士配享事蹟)·천조신패(天朝信牌)·천조유서(天朝諭書)·임반(任班)·고적(古蹟)·이치(吏治)·성씨(姓氏) 등으로 되어 있다.

학규·학규절목조에는 향촌교육(鄕村敎育)의 법도(法度)가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중권에는 충신(忠臣)·심하순절(深河殉節)·금도사절(金島死節)·의사(義士)·접도의사(蝶島義士)·월봉의사(月峯義士)·청강의사(淸江義士)·능한의사(凌漢義士)·신사원사(辛巳寃死)·선무공신(宣武功臣)·진무공신(振武功臣)·호성공신(扈聖功臣)·신미사적(辛未事蹟)·효자(孝子)·열녀(烈女)·별록(別錄)·문과(文科)·사마(司馬)·음사(蔭士)·문인(文人)·무사(武士)·괴이(怪異) 등으로 되어 있다.

하권에는 향약(鄕約)·서숙(書塾)·심하사절군사(深河死節軍士)·능한전망(凌漢戰亡)·추록(追錄)·제영(題詠)·용흥사기(龍興寺記)·발문(跋文)·추록(追錄) 등으로 되어 있다.

향약조에는 총론과 함께 실천덕목팔목(實踐德目八目)·향좌도식(鄕座圖式) 등이 실려 있다. 특기할 사항은 권말에 ‘崇禎紀元後四甲寅正月日重刊于龍馬所(숭정기원후 사갑인 정월일 중간우용마소)’라는 간기가 있다는 점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관서읍지≫의 일부로 수록된 것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관서읍지(關西邑誌)』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전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