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특수 지역.
정의
신라시대의 특수 지역.
개설

성은 이두로서 불교 사원의 역직명(役職名)으로 사용되었는데, 일반적으로는 수공업 관계의 제조(製造)를 뜻하는 말이었다.

성의 이름으로 여금·보검·탁금·진금은 금속의 세공이나 도금의 제작 및 비단의 생산 등과 관련이 있다. 이로써 성은 고대 귀족의 사치품 제작을 위한 수공업품의 제작 장소이거나 수공업의 직업별 집단 거주지였음을 알 수 있다.

유래와 내용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의 삼국유명미상지분조(三國有名未詳地分條)에 나오는데 ① 보검성(寶劍成)·진금성(進錦成)·여금성(麗金成)·탁금성(濯錦成), ② 악양성(岳陽成)·간수성(澗水成)·방해성(傍海成)·하곡성(河曲成)·노균성(露均成)·악남성(岳南成)·해주성(海州成)·추반성(推畔成)·내진성(萊津成)·말강성(末康成)·방정성(○定成)·순기성(脣氣成)·봉천성(奉天成)·영수성(永壽成)·만수성(萬壽成) 등이 있었다.

신라시대 성의 대부분은 이름을 지명에서 따와 붙였다. 그 중 악양성·하곡성·해주성은 지방의 군현 이름과 같다.

그러나 성은 대체로 왕기(王畿 : 王都 부근의 지역)를 구성하고 있었으며, 같은 이름의 지방 군현에 있었던 것은 아니다. 같은 이름의 성과 군현은 밀접한 관계를 가졌는데, 그것은 신라에 항복해 온 옛 소국과의 관계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악양성은 왕도 내의 지명이지만 악양현은 소다사(小多沙)로서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이며, 주위에 특산물인 철이 생산된다. 다사국(多沙國)의 구왕족은 식읍의 공조(貢租)를 악양성으로 보냈다. 그러므로 성은 수공업소이거나 수공업 원료를 거두어들이는 조(調)를 관장하는 지역이다.

기타 특수지역명

특수 지역명으로 성 외에 향(鄕)이 있었다. 향은 상당히 큰 지역을 가리키고 성은 원래 장원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나, 신라에서는 성이 수공업소였고 향은 장원이나 목마장이었다.

향뿐 아니라 성 주민들의 신분은 일반 자영 농민과는 다소 구별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의 향·소(所)와 같이 천민 부락으로 취급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귀족 세력의 보호를 받았으며, 귀족들의 생활 필수품을 만드는 수공업 기술자들이어서 생활은 오히려 일반 농민보다 나았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新羅)의 촌락(村落)과 농민생활(農民生活)』(김철준, 『한국사』 3, 국사편찬위원회, 1978)
「新羅王畿の構成」(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1974)
집필자
김두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