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리총 ()

청동초두
청동초두
고대사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돌무지덧널무덤. 적석목곽분.
이칭
이칭
노동동 126호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돌무지덧널무덤. 적석목곽분.
개설

식리총(飾履塚)은 경주 노동리 고분군에 포함되어 있으며 일련번호는 노동동 126호분이다. 1924년에 일본인 우메하라[梅原末治] 등이 발굴조사하였다.

내용

발굴 당시 이 고분은 외형이 크게 손상되어 있었으나 원형봉토분(圓形封土墳)임이 밝혀졌다. 현존하는 봉토분 규모는 길이 13m, 높이 약 5.4m이다. 내부구조는 경주고분군에서 일반적인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었다. 지하에 구덩이[土壙]를 파고 덧널[木槨]을 설치했는데, 덧널은 외덧널식[單槨式]으로 덧널의 장축은 동서로 놓여 있었다. 덧널의 크기는 길이 5.3m, 너비 3.3m의 직사각형 평면이며, 높이는 1.2m였다.

덧널과 구덩이 벽 사이, 그리고 덧널의 위에는 냇돌로 돌무지를 쌓았고 돌무지 위에는 봉토를 씌웠다. 덧널 바닥에는 서쪽으로 약간 치우친 가운데에 널[木棺]을 안치하였고 널의 크기는 길이 약 2.4m, 폭은 0.78m이다. 널 동쪽에는 각종 껴묻거리( 부장품)가 배치되어 있었다.

널이 놓여 있던 곳에서는 동쪽으로 머리를 둔 피장자가 직접 착장하였던 유물들이 놓여 있었다. 금제관드리개 · 가는고리금귀걸이 · 유리구슬목걸이 · 은제허리띠[銀製銙帶]와 띠드리개[腰佩] · 은팔찌 등의 장신구와 철제고리자루큰칼[鐵製環頭大刀] 1개가 출토되었다.

그리고 널 서쪽 끝부분에서 이 고분의 이름을 짓게 한 특징적인 금동신이 출토되었다. 이 금동신은 거북등모양[龜甲形] 윤곽 안에 각종 괴수(怪獸)의 타출무늬[打出文]가 새겨진 서역(西域) 미술과 관련이 깊다.

널 동쪽의 껴묻거리 구역에서는 금동장안교(金銅張鞍橋)를 비롯한 각종 마구(馬具) · 청동합(靑銅盒) · 자루솥[鐎斗]을 비롯해 금속용기와 칠기 · 토기 · 금은장고리자루큰칼 등의 무기가 출토되었다. 청동합은 뚜껑손잡이가 새모양으로 된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자루솥은 중국 동진(東晋)에서 유행한 형식이다.

의의와 평가

고분의 규모와 출토된 금동제 유물로 보아 식리총은 신라 국왕의 무덤이라기보다는 왕족이거나 최고의 귀족 무덤으로 판단된다. 피장자는 널 안에서 출토된 고리자루큰칼로 보아 남자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 고분의 축조연대는 삼국시대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으로서는 비교적 늦은 5세기 말경이나 6세기 초엽으로 편년된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신라고분연구』(최병현, 일지사, 1992)
「慶州金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梅原末治,『大正十三年度古蹟調査報告書』1, 193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