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비전합창단 (WorldVision)

선명회 어린이합창단
선명회 어린이합창단
현대음악
단체
1960년, 미국에 본부를 둔 세계 구호 단체 월드비전(World Vision) 한국 지부가 전쟁고아들로 창단한 어린이 합창단.
단체
설립 시기
1960년
설립자
밥 피어스(Bob Pierce, 1914~1978)
설립지
서울특별시
상위 단체
월드비전
소재지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77-1
전신
선명회어린이합창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월드비전합창단은 1960년 미국에 본부를 둔 세계 구호 단체 월드비전 한국 지부가 전쟁고아들로 창단한 어린이 합창단이다. 선명회어린이합창단으로 출범했다가 1998년에 월드비전합창단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초대 지휘자 장수철(張壽哲)과 미국 공연을 다녀왔으며 이후에도 국내외 무대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대사로 활약 중이다.

정의
1960년, 미국에 본부를 둔 세계 구호 단체 월드비전(World Vision) 한국 지부가 전쟁고아들로 창단한 어린이 합창단.
설립 목적

1960년,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 단원은 전쟁고아 중 음악에 재능이 있는 학생들로 구성하였다. 음악을 통한 선교(宣敎)와 전쟁고아를 위한 기금 마련에 주력하였으나, 현재는 일반 어린이들을 선발하여 조기 음악 교육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한국전쟁(韓國戰爭) 때, 미군 종군 주1로 활약한 밥 피어스(Bob Pierce) 목사의 주도에 의해 전쟁고아와 여성들을 돕기 위해 만든 구호 주2 월드비전의 한국 지부인 한국 선명회가 창단하였다. 1960년 8월 20일, 세계 기독교 선명회에 의해 선명회어린이합창단으로 창단되었으나 주3의 교주 문선명과 관련이 있다는 오해 때문에 1998년 9월 1일, ‘월드비전어린이합창단’으로 개칭한 다음 2016년 3월, 월드비전합창단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선명회가 후원하는 전국 151개 보육원 원아 13만 3000명 가운데 노래를 잘하는 8~12세의 어린이 32명을 선발해 합창단을 구성했다.

주요 활동

1961년 10월 17일부터 후원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의 27개 도시를 장수철의 지휘 아래 순회 연주했다. 당시 북미 순회공연 때 합창단은 '한국 고아 합창단(Korean Orphan Children's Choir)'이라는 이름을 내걸었다. 대한민국을 잘 모르던 외국인들에게 한국을 소개할 뿐 아니라 음악 예술의 수준을 과시한 민간 외교 사절의 임무를 성공리에 마쳤다. 투어 도중 미국 가정에 곧바로 입양된 단원도 있었다. 이 무렵이 박정희(朴正熙) 국가재건최고의회 의장의 미국 방문을 한 달 남겨둔 시점이었다. 지휘자 장수철은 공로를 인정받아 1965년 3월, 한국 정부에서 문화 공로 포장(褒章)을 받았다.

2년 후인 1962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동남아와 유럽 14개 국가의 104개 도시를 제2차로 순회 연주하였다. 그러나 지휘자 장수철은 무리한 일정으로 병을 얻어 주4 박재훈(朴在勳)이 지휘봉을 이어받아 1965년 7월 미국, 캐나다, 버뮤다의 120개 도시를 순회 연주하여 극찬을 받았다. 3년 후인 1968년, 다시 캐나다와 버뮤다의 120개 도시를 다시 한번 순회 연주하였다.

박재훈 역시 피로로 사임하였고 그 뒤를 윤학원(尹鶴元)이 이어받았다. 그 후로 소년소녀들의 합창 수준을 높이며 1972년과 1974년 대만, 홍콩, 뉴질랜드의 20개 도시, 미국, 캐나다, 버뮤다의 90개 도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15개 도시를 순회 연주하는 등 세계만방에 한국을 소개하며 주5주6.

1975년 7월에는 미국 영화 「원 투 원(One to One)」 제작에 주인공 역의 줄리 앤드류스, 피겨 스케이팅 선수 자네트 린, 인형극단과 함께 합창단 전원이 출연하였다. 1978년 12월에는 홍콩에서 세계 불우 어린이 구제 기금 자선 음악회에 출연하였다.

1978년 5월, 유럽 방송 주7 주최 세계 합창 경연 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합창제에 초청을 받아 출연하였다. 역대 상임 주8는 장수철 · 박재훈 · 김종일 · 윤학원 · 최시원 · 김희철 · 권영일이며, 빈 소년 주9 최초의 아시아인 지휘자를 지낸 김보미가 2018년부터 상임 지휘자를 맡고 있다. 박제현 영화감독 아래 코러스 영화 「유앤유」를 제작하여 일반 대중의 희망 증진과 나눔 정서 함양에 힘쓰고 있다. ‘월드비전 2000 세계 어린이 합창제’를 개최하여 세계 정상의 어린이합창단과 함께 서울, 안성, 인천, 대구를 순회하였고 이후에도 3년마다 한 번씩 합창제를 개최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창단 이래 3,000여 회의 국내 연주를 비롯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 정상을 위한 연주, 외국 초청 연주 등 다양한 연주 활동을 펼치면서 세계 무대에서 한국을 알리는 문화 대사로 활동 중이다. 역대 단원 중에는 뉴욕 메트로폴리탄(metropolitan) 오페라 주역 가수를 지낸 주10 홍혜경, 카운터 테너(counter 주11 이동규, 계명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인 소프라노 강혜정 등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장직, 『국경을 넘는 음악외교』 (모노폴리, 2023)

인터넷 자료

월드비전합창단 홈페이지(https://www.wvchoir.or.kr)
주석
주1

군대를 따라 전쟁터에 나가 전투 상황을 보도하는 기자. 우리말샘

주2

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기 위하여 조직한 사회단체. 우리말샘

주3

1954년에 문선명이 창설한 종교 단체. 원래 명칭은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 협회’였으나 1997년 4월에 ‘세계 평화 통일 가정 연합’으로 개칭하였다. 가정의 화목과 평화를 통해 인간 세계의 모든 평화와 행복이 시작된다고 강조한다. 우리말샘

주4

맡아보던 일자리를 스스로 그만두고 물러나다. 우리말샘

주5

나라의 권위나 위력. 우리말샘

주6

명성이나 권위 따위를 널리 떨치게 하다. 우리말샘

주7

서유럽 각국의 방송 기관들이 방송 문화의 발전을 위하여 결성한 연합 조직. 1950년에 설립되었으며, 본부는 스위스의 제네바에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라디오 프로그램, 법규, 기술 따위의 4개 위원회 및 각종 부서가 있다. 우리말샘

주8

합창단이나 합주단에서 정식 구성원으로 근무하는 지휘자. 우리말샘

주9

오스트리아의 세계적인 소년 합창단. 1498년에 조직된 궁정 예배당 소속의 소년 성가대에서 비롯한 것으로, 10세 무렵부터 변성기 전까지의 소년들로 구성된다. 우리말샘

주10

여성이나 어린이의 가장 높은 음역(音域). 또는 그 음역의 가수. 우리말샘

주11

훈련을 통해 여성(女聲)의 음역을 가진 남성 가수. 우리말샘

집필자
이장직(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