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공예 ()

목차
관련 정보
천마총 유리잔
천마총 유리잔
공예
개념
유리를 재료로 하여 조형미를 갖춘 각종 공산품을 만드는 공예.
내용 요약

유리공예는 유리를 재료로 하여 조형미를 갖춘 각종 공산품을 만드는 공예이다. 통일신라 시대까지 유리는 보석과 같은 귀중품의 일종이었다. 팔찌·목걸이 등 장신구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의식기와 사리 장치로도 한몫하였다. 고려 시대에 접어들면서 이런 전통은 단절되어 사리 용기도 청자로 대체되었다. 근대 이후로 유리는 생활용품으로 보편화되었다. 우리나라의 중요한 유리공예품은 유리배, 봉수형병, 유리구슬, 유리동자상, 사리병 등이 있다. 이 외에 의식기와 장신구가 유리로 만들어져 찬란한 유리공예의 전통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정의
유리를 재료로 하여 조형미를 갖춘 각종 공산품을 만드는 공예.
내용

대체로 통일 신라시대까지는 유리가 보석과 같은 귀중품의 일종으로서 팔찌 · 목걸이 등 장신구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의식기(儀式器)와 사리(舍利)장치로서도 한몫을 하였다.

그러나 사실상 고려 이후에는 이와 같은 전통이 단절되다시피 되었고, 근대 이후로는 유리가 생활품으로 보편화되었다. 그리하여 우리 나라의 유리공예라고 하면 주로 삼국시대의 찬란한 유리문화가 중심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고대 유리제품은 특히 그 구성성분이나 조형에 있어서 주2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류역사상 유리의 기원은 확실하지 않다. 다만, 지금까지의 고고학적 자료에 따르면 고대 주3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오래된 유리는 주4 제3왕조기에 만들어진 단편(斷片)으로서, 그 시대는 서기전 23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서기전 18, 17세기의 점토판(粘土板) 문서인 『유리제조 비전서(秘傳書)』가 출토되어 이미 유리의 생산이 보편화되었음을 보여 준다.

한편, 서기전 16∼15세기에는 이집트에서도 유리가 발달되어 대체로 이 시기를 유리용기가 만들어지는 초기 단계로 볼 수 있다. 고대의 유리 제조는 기술적인 발달을 거듭하면서 색채와 문양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형태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초기에는 흙이나 막대기를 심으로 넣고 형태를 만드는 심지성형법(core-forming)을 썼으며, 서기전 10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여러 가지 색깔의 가는 유리봉을 타래로 묶어 그것을 구슬 크기로 끊어낸 뒤 다시 녹여 성형하는 모자이크법을 개발하였고, 서기전 7세기경에는 유리 표면을 주5, 세공하는 컷 글라스법(cut glass法)을 이용하였다.

유리 생산이 본격화된 것은 주6시대에 취형기술(吹形技術)이 개발되면서부터인데, 이러한 ‘로만 글라스’는 실용화 단계를 거쳐 급속히 주변에 전파되기에 이르렀다. 또, 이때부터 무색유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사실도 특기할 사실 중의 하나이다. 고대 이란 유리는 로마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면서, 특히 컷 글라스를 더욱 개발하여 하나의 새로운 전통을 확립하였다.

중국에서는 주7 말(서기전 3세기 말)경에 처음으로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것이 중국의 독자적인 개발인지 또는 서방의 영향에서 출발한 것인지에 대하여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예컨대, 이 초기 유리는 허난성 뤄양현 진춘(河南省洛陽縣金村)에서 출토된 모자이크유리인데, 전문가의 분석에 따르면 이 유리옥(琉璃玉)은 주9을 다량 포함한 주8로서, 그 양식은 서방의 지중해 주변도시에서 제작된 모자이크유리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유리의 조성은 주10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중국의 고유품이라고 주장되기도 한다(日, 水野精一). 말하자면 주11를 주원료로 하는 고대의 서방 유리와는 달리 중국 유리는 연유리이므로 그것을 중국의 독자적인 창시로 보는 견해가 생겨나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연유리 자체가 고대 오리엔트에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앞에서 언급한 점토판 문서에는 연유약(鉛釉藥)의 조합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문헌상의 기초뿐만 아니라 모자이크유리의 제조법이 너무도 복잡하여 우연히 동서에서 동일한 방법에 도달한 것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다는 견지에서, 이 모자이크법과 연유리 제법이 서아시아에서부터 전국 말기에 중국에 전래된 것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日, 由水常雄).

유리의 주12 경로는 매우 복잡한데, 이러한 배경 속에서 삼국시대의 유리는 지배계층의 총아가 되었다. 이것들은 5∼6세기경의 고분출토품으로서 대개 유리의 성분이 소다유리 계통의 로만 글라스에 속하는 것이어서, 서방으로부터의 수입품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낳게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릇의 형태에 있어서도, 가령 이란에서 유행하였던 오이노코에병(일명 鳳首形甁)과 유사한 유물이 출토된다는 사실은 그러한 추측을 더욱 강하게 하여 주고 있다.

그럼에도 삼국시대의 유리에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은 그것들이 한반도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분명한 마구(馬具)장식인 행엽(杏葉)에 얇은 주13가 내장되었다든지, 한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일원에서만 발굴되는 주14과 같은 장식물에 유리제품이 섞여 있다는 사실, 또 유리에 비교적 기포가 많고 성형이 매끄럽지 못한 점 등은 그 유리들이 우리 자신의 생산품임을 암시하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고대 한국의 유리 생산 여부에 대하여서는 속단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유리의 원료나 기형의 특징을 원생산지의 것과 비교하여 고려할 때, 그 가능성이 전적으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경주 황남대총(98호분) 출토품 중에 보이는 일련의 유리제품은 다양한 유리 주27 · 주28 기술 등의 예로 보아 이것들을 신라산(新羅産)으로 볼 수 있는 조건이 한층 짙어졌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며(崔淳雨), 더욱이 이 고분의 북분(北墳)에서 수습된 2점의 남색 유리완(琉璃碗)은 다른 유리기와 연관성이 별로 없다는 견지에서 신라제품일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대체로 신라 고분시대의 유리가 후기 로만 글라스에 속하는 것이라고 하면, 불교를 받아들인 이후의 것은 대부분 동양계 연유리인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이는 중국불교의 영향으로 유리로 만든 주15를 봉안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통일신라기의 유리제품은 비서방계 유리로서, 이것들은 중국에서 수입되었거나 또는 한국에서 만든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상북도 칠곡송림사전탑(松林寺塼塔)전라북도 익산왕궁리석탑(王宮里石塔)에서 각각 발견된 주16은 그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은 경로를 거쳐 유리는 불교문화의 성쇠에 따라 대체로 고려시대까지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접어들면 이미 사리 용기가 청자로 대체되고 있음을 보게 되며, 더욱이 귀중공예품으로서의 가치도 반감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가령, 14세기초의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와 같은 고려 불화에 나타난 유리그릇은 청자(靑磁) 정병(淨甁)을 담는 보조 용기로 쓰이고 있다.

어쨌든 전통적인 유리공예는 고려 이후로는 맥을 잇지 못한 것 같다. 중국의 유리공예가 몽고 침입 이후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하겠다. 이러한 전통의 단절은 대량생산의 근대적 유리공업으로 이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삼국시대 이래 한반도에서 이용된 유리공예품 가운데 중요한 유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리배(琉璃杯)

손잡이가 달리지 않은 컵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것들은 금령총을 비롯하여 금관총 · 서봉총 · 황남대총 · 천마총주17(金製寶冠)이 출토되는 정도의 삼국시대 주요 고분에서 발굴되었다. 주18에 테를 두르고 굽을 단 주29와 구연을 그릇두께와 같게 마무리하고 밑바닥은 주19로 처리한 주30로 양분된다.

이 두 종류의 형태는 전형적인 이란식으로서 표면의 문양수법도 비슷하다. 즉 그릇의 아랫부분을 돌려가며 주20로 그물 주31, 주21(천마총) 따위를 장식하였다. 이러한 기물들은 대부분 불투명한 유리이며, 기포가 많고 표면은 고르지 못한 편이다.

유리의 색은 대개 아주 연한 청색조이나 개중에는 코발트색[^32]이 들어 있어 주목된다. 왜냐 하면 그 당시 우리 나라에서는 코발트원료가 생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이란에서 발달한 양식의 컷 주33가 있는데 광택과 더불어 비교적 맑고 밝은 유리질로 되어 있다.

이 밖에 이란계 유리잔으로는 금령총 출토의 청색 반점문(斑點文) 유리잔이 더 있다. 이것은 엷은 녹색 계통의 유리 바탕에 맑은 청색 반점을 그릇 표면에 떼어 붙여 돋을무늬로 장식한 것인데, 다른 어떤 잔보다도 유난히 기포가 많은 것이 특이하다. 이와 비슷한 유형으로는 8세기 통일신라 때의 작품인 송림사오층전탑에서 발견된 녹색 유리잔(사리장치)을 들 수 있다.

(2) 유리고배(琉璃高杯)

유리고배 중에서는 연리문 주34가 눈에 띄는데, 고배의 일반형과는 달리 용기 부분이 대접처럼 넓고 유리의 문양도 갈색 나뭇결무늬로 처리되었다. 이러한 문양은 모자이크법과 유사한 리본식(ribbon式)인데, 단색 또는 서너 개의 다채로운 색조의 유리봉을 틀 속에 넣고 함께 녹여 여러 개의 띠를 두른 것처럼 장식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발굴된 것 가운데에서는 형태와 문양이 독특한 유일한 예이다. 그밖에도 몸통[胴部]에 띠돌림한 것과 물결무늬를 두른 것 등이 금관총에서 발굴되었다.

(3) 봉수형병(鳳首形甁)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된 오이노코에병(Oinochoe甁)의 일종으로서 주22 이란에서 크게 유행하였는데, 때로는 유리 외에 청동으로도 만들어졌다. 호리병모양의 이 병은 본래 주둥이를 찌부러뜨려 마치 새의 머리모양을 연상하게 하는 형태를 이루었었는데, 주23 이래 중국에 입수되면서 봉황의 머리를 병구(甁口)에 장식하는 식으로 변형되어 오늘날 통칭 봉수형병이라 부르게 되었다.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봉수형병은 구연부와 손잡이를 짙은 남색으로 처리하였고, 목 부분에는 남색 유리사(琉璃絲)를 띠돌림법으로 여러 번 감았다. 유리는 광택이 약간 있으나 투명하지 않고, 기포도 약간 있다. 손잡이에 가는 금사(金絲)를 감아놓은 것이 이채롭다.

(4) 유리구슬

삼국시대에 출토된 유리공예품 중에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장식용 유리구슬이다. 모자이크법을 이용하여 꽃이나 별모양을 연속시킨 구성을 구슬표면에 장식한 것이 많이 있고, 또 인물 상감 유리구슬처럼 상감법으로 인물 · 수목 · 새 등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고대 유리공예의 수준 높은 경지를 보여 주는 예도 있다. 특히, 이 후자의 구슬에 묘사된 인물은 둥근 눈과 짙은 눈썹의 서방적 풍모를 갖추고 있어 이 작품이 서방전래품이라는 인상을 짙게 하여 주고 있다.

(5) 유리동자상(琉璃童子像)

백제 무령왕릉에서는 많은 유리구슬이 발굴되어 주목을 끌었는데, 그 중 특히 소형 동자상(2.5㎝)은 유리조각품으로서 매우 희귀한 자료이다. 불투명한 유리에 안면의 이목구비뿐만 아니라 합장한 손, 바지, 두 발 등을 간단한 주24으로 표현하였다. 이 작품은 표현기법과 인물의 인상이 한국적인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

(6) 유리판장식(琉璃板裝飾)

삼국시대 신라고분에서 출토된 행엽에 부착된 유리판은 금동으로 만든 판과 주25장식 사이에 두께 2㎜ 정도의 녹색 유리판을 끼워 호사스러운 장식효과를 낸 것으로서, 이것은 삼국시대에 유리를 직접 생산하였다는 뚜렷한 증거가 되는 자료이다.

(7) 사리병(舍利甁)

대표적인 예로는 송림사전탑 출토의 사리병과 익산왕궁리석탑(8세기 전반) 출토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6㎝ 남짓한 크기로서 목이 긴, 마치 조선시대의 백자장경주병(白磁長頸酒甁) 스타일로 생겼으며, 청록계 색조를 띠고 있다. 이것들은 세련된 기술의 서방계 유리와는 구별되는 동양계 유리로서 중국 간쑤성 징촨현(甘肅省涇川縣) 출토의 주26대(隋代) 사리병과 흡사하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유리공예품의 유형 외에도 전형적인 로만 글라스 특유의 남청색 주35과 같은 의식기와 팔찌 · 목걸이 · 곡옥 따위 장신구 등이 유리로 만들어져 찬란한 유리공예의 전통을 수립하였다.

참고문헌

「신라요지발견회유토기(新羅窯址發見灰釉土器)에 대하여」(정양모, 『제17회전국역사학대회발표』, 1974)
『신라쌍분·경주구팔호고분(新羅雙墳·慶州九八號古墳)』(국립중앙박물관, 1975)
「눈부신 동아(東亞)유리기법의 교류」(이종석, 『계간미술』 30, 1984)
『중앙아시아미술』(권영필, 국립중앙박물관, 1986)
『カラスの形と技術の交涉史』(由水常雄, 德間書店, 1973)
『東洋のカラス-中國·朝鮮·日本-』(由水常雄, 三彩社, 1977)
『東洋古代カラス』(東京國立博物館, 1978)
Studies in Ancient Technology V(Forbes,R.J., Leiden, 1966)
Pre-Roman and Early Roman Glass in The Corning Museum of Glass(Goldstein,S.M., New York, 1979)
주석
주2

서쪽 방향에 있는 나라들. 유럽,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의 여러 나라를 통틀어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서남아시아의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있는 지역. 이라크를 중심으로 시리아 동북부와 이란 서남부를 포함한다. 고대 문명 발상지의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4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있었던 도시. 기원전 4000년경에 세워진 도시로, 고대에는 인접한 유프라테스강 덕분에 비옥한 관개지였으나 강의 물길이 바뀜에 따라 폐허가 되었다. 1922년부터 1934년까지 진행된 발굴에서 나온 유물은 메소포타미아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우리말샘

주5

주로 돌이나 쇠붙이, 보석, 유리 따위의 고체를 갈고 닦아서 표면을 반질반질하게 함. 우리말샘

주6

라티움 평원에 머물러 살고 있는 라틴인들이 팔라티스 언덕을 중심으로 건설한 도시 국가. 우리말샘

주7

중국 역사에서, 춘추 시대 다음의 기원전 403년부터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기원전 221년까지 약 200년간의 과도기. 여러 제후국이 패권을 다투었던 동란기로 ‘전국 칠웅’이라는 일곱 개의 제후국이 세력을 다투었으며, 제자백가와 같이 학문의 중흥기를 이루었고, 토지의 사유제와 함께 농사 기술의 발달 따위로 화폐가 유통되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8

산화 납을 함유한 유리. 비중과 굴절률이 크며 광택과 빛이 난다. 크리스털 유리, 모조 보석, 고굴절률의 광학 유리, 방사선 차폐 유리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주9

알칼리 토류 금속 원소의 하나. 은백색의 연한 금속으로, 공기 중에서 잘 산화하고, 상온에서 물을 분해한다. 열을 가하면 녹색의 불꽃을 내며 타서 산화 바륨이 된다. 합금의 재료로 쓰고, 황산 바륨은 위장의 방사선 진단의 조영제(造影劑)로 쓴다. 원자 기호는 Ba, 원자 번호는 56, 원자량은 137.327. 우리말샘

주10

아시아의 서남부 지역. 아라비아반도를 포함한, 동쪽의 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 서쪽의 튀르키예까지의 지역을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11

소다회, 석회석, 규사를 주원료로 하는 유리. 압축 세기는 크나 충격에는 약하다. 가장 흔하고 실용적인 유리이다. 우리말샘

주12

점점 세력을 넓혀 동쪽으로 옮기어 감. 우리말샘

주13

널빤지 모양으로 넓적하고 반듯하게 만든 유리. 우리말샘

주14

예전에, 옥을 반달 모양으로 다듬어 끈에 꿰어서 장식으로 쓰던 구슬. 우리말샘

주15

사리를 보관하는 데 사용하는 그릇. 우리말샘

주16

부처의 사리를 담는 병. 보통 수정이나 납석으로 만드는데, 그 모양은 일정하지 아니하다. 우리말샘

주17

보석으로 꾸민 관. 우리말샘

주18

물건을 넣고 내고 하는, 병ㆍ그릇ㆍ자루 따위의 구멍의 어귀. ⇒규범 표기는 ‘아가리’이다. 우리말샘

주19

평평한 밑바닥. 우리말샘

주20

도드라지게 나타낸 무늬. 우리말샘

주21

거북의 등 모양으로 여섯 모 꼴이 가로세로로 잇달아 있는 무늬. 우리말샘

주22

226년부터 651년까지 페르시아를 지배하던 왕조. 아르다시르 일세가 파르티아 왕조를 넘어뜨리고 세웠으며,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신권에 의한 전제 정치가 행해지고 독특한 문화가 번성하였다. 호스로 일세 때 동로마 제국과 싸워 판도를 넓히며 전성기를 이루다가 사라센 제국에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23

중국에서, 후한(後漢)이 멸망한 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 양쯔강(揚子江) 남쪽에 있었던 여섯 왕조. 오(吳), 동진(東晉),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4

선으로 새김. 또는 그런 그림이나 무늬. 우리말샘

주25

금속판에 문양을 새긴 뒤에 나머지 부분을 따 내는 공예 기법. 우리말샘

주26

581년에 중국 북주(北周)의 양견(楊堅)이 정제(靜帝)의 선양(禪讓)을 받아 세운 왕조. 581년에 개국하였으며, 589년에 진(陳)나라를 합쳐 중국을 통일하였으나, 618년에 당나라 고조 이연(李淵)에게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27

예전에, 옥을 반달 모양으로 다듬어 끈에 꿰어서 장식으로 쓰던 구슬. 우리말샘

주28

금, 은, 구리 따위의 바탕에 갖가지 유리질의 유약을 녹여 붙여서 꽃, 새, 인물 따위의 무늬를 나타내는 공예. 또는 그 공예품. 우리말샘

주29

황남대총 남분 · 서봉총 · 천마총

주30

황남대총 남 · 북분, 금령총

주31

황남대총 남분 · 서봉총

주32

천마총, 월성 안계리 고분

주33

황남대총 북분

주34

황남대총 북분

주35

盌: 서봉총 · 황남대총 남분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