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민탄 ()

속동문선(권5) / 유민탄 전문
속동문선(권5) / 유민탄 전문
한문학
작품
조선 전기에 어무적(魚無迹)이 지은 칠언고시 한시.
정의
조선 전기에 어무적(魚無迹)이 지은 칠언고시 한시.
개설

『속동문선』『국조시산(國朝詩刪)』에 전한다. 어무적의 출신에 대해서는 주1, 혹은 관노(官奴) 등의 상반된 기록이 있다. 『함종어씨세보(咸從魚氏世譜)』 등의 기록에 의하면, 어무적의 어머니는 관비였고 아버지는 사족(士族)이었다. 어무적은 처음에는 관노였다가 뒤에는 면천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 및 형식

칠언고시이나, 삼언 · 오언도 섞여 있다. 삼언 · 오언 · 칠언을 변화 있게 구사한다. 반복과 대구의 표현기교는 민요의 형식과도 상통하는 것이 있다.

내용

「유민탄」에서 어무적은 자기 고장에 머물러 살지 못하고 떠돌아다니는 유민(流民)의 탄식과 하층민의 원성을 대변하였다. 그리고 자기의 능력 없음을 탄식하고 참다운 애민정치(愛民政治)의 실현을 갈망하였다.

「유민탄」은 처음에 주2이라는 말을 두 번 되풀이한다. 그리고 흉년에 먹을 것이 없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노래한다. 다시 주3라는 말을 두 번 되풀이한다. 그리고 추위에 덮을 것이 없는 백성들의 괴로움을 노래하였다.

동시에 ‘나[我]’는 창생을 구제할 마음은 있다 그러나 그럴 만한 힘이 없다고 탄식한다. 창생을 구할 힘이 있는 ‘저들[彼](벼슬아치들)’은 그럴 마음이 없다 그들은 나라의 지시공문조차 빈 종이인 것처럼 여기고 만다고 개탄하였다.

「유민탄」은 소인(小人: 벼슬아치들)들이 마음을 돌려 군자(君子)의 염려와 귀를 가지고 백성들[小民]의 말을 들어주었으면 한다는 호소를 하였다. “소민의 말은 있으나 인군(人君: 임금)이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지금의 창생들은 모두 갈 곳을 잃고 있다.”고 탄식하였다.

의의와 평가

「유민탄」의 작자가 하층민인 것은 위항문학(委巷文學)에서는 드문 예이기에 주목된다. 그러나 작자는 시인이라 자처하며 자신을 하층민(蒼生)과 동일시하지 않았다는 점도 주목된다. 허균(許筠)은 자신의 시비평집 『성수시화(惺叟詩話)』에서 이 시를 당시의 대표적 걸작이라 평가하였다.

참고문헌

「어무적의 시세계와 홍길동전」(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작』, 창작과비평사, 1984)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方外人文學)」(임형택,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방외인문학(方外人文學)의 성립」(임형택, 『한국사』11, 국사편찬위원회, 1981)
「16세기초 신진문인층과 시의 세계」(임형택, 『대동문화연구』13,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79)
「어무적의 시와 홍길동전」(임형택, 『한국한문학연구』3·4, 한국한문학연구회, 1978)
주석
주1

양반과 천민 여성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우리말샘

주2

창생의 어려움이여!라는 의미.

주3

창생의 괴로움이여!라는 의미.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조동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