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동문선』은 조선 전기의 문신, 신용개·김전·남곤 등이 중심이 되어 성종·중종 연간의 시문을 모아 1518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동문선』은 성종의 명을 받아, 서거정이 신라로부터 조선 성종조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모아 성종 9년(1478)에 출간하였다. 그 뒤 40년 만인 중종 13년(1518)에 『속동문선』을 편찬 출간하였다. 구성은 『동문선』의 편집을 따라서 각종 시문의 종류대로 순차적으로 편찬하였다. 『동문선』에는 신라·고구려 때의 불교 관련 내용이 실려 있었다. 『속동문선』에서는 조선왕조의 숭유억불 정책이 반영되어 유교 문화 중심 내용으로 전환되었다.
23권 11책. 목판본.
1478년(성종 9)에 펴낸 『동문선(東文選)』의 취지를 이어서 『동문선』 편찬에 종사하였던 관료문인의 글과 성종에서 중종 연간의 문학유산을 대상으로 펴낸 시문전집으로, 21권이다.
『동문선』은 성종의 명을 받아, 서거정(徐居正)이 신라로부터 조선 성종조에 이르기까지의 시문을 모아 1백 30권으로 엮었다. 성종 9년(1478)에 출간하였다. 그 뒤 40년 만인 중종 13년(1518)에 이 『속동문선』을 편찬 출간하였다.
『속동문선』의 출간은 편찬이 완성된 시기인 1518년에 을해자 초인본(乙亥字初印本)으로 중종 13년(1518) 7월 간행했는데 23권 11책으로 매장 10행 18자이며 약 1,300 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거의 없어졌다. 그 뒤에 정속편 합본(正續編合本)이 나왔으나 역시 병화(兵火)에 거의 없어졌다. 1615년(광해군 7)에 훈련도감자인본으로 출판되었다.
연대는 자세하지 않으나 필서체자 목판본(筆書體字木版本)으로 간행되기도 하는 등 여러 차례 인행하였다. 『속동문선』은 본문이 21권 10책이며, 목록 2권을 합하여 23권 11책이다. 목록 권말에 김전의 서문과 46인의 찬집관의 관직과 명단이 첨부되어 있다.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이름이 들어 있다.
『속동문선』 서문에 “지난 성종 9년에 서거정(徐居正) 등이 『동문선』을 제진(製進)한 뒤 40년이 지났으니 그 뒤에 나온 시문들을 다시 초집(抄集)하여 모은 것”이라고 밝혔다. 『속동문선』 편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1·2는 사(辭) · 부(賦), 권3은 오언고시, 권4는 고시(古詩), 권5는 칠언고시, 권6은 오언율시, 권 7·8은 칠언율시 · 칠언배율, 권 9·10은 오언절구 · 칠언절구 · 육언절구 · 잡체시(雜體詩), 권 11·12는 시책(諡冊) · 애책(哀冊) · 애사 · 명 · 찬(贊) · 전(箋) · 표(表) · 상소(上疏) · 격(檄) · 책제(策題), 권13·14는 기, 권15·16은 서(序), 권17은 설 · 논 · 전(傳) · 발 · 가요(歌謠), 권18은 잡저 · 상량문, 권19는 제문 · 청사(靑詞) · 행장, 권20은 비명 · 묘지, 권21은 행록(行錄) 등으로 되어 있다.
『속동문선』에 채집된 시문은 그 시대적 범위가 비교적 짧다. 구성은 『동문선』의 편집을 따라서 각종 시문의 종류대로 순차적으로 편찬하였다. 문체 종류는 37종이며, 작품의 총수는 1,281편이다.
『속동문선』에 수록된 작가는 서거정 · 강희맹(姜希孟) · 김수온(金守溫) · 김종직(金宗直) · 남효온(南孝溫) · 김일손(金馹孫) · 김시습(金時習) · 박은(朴誾) · 성현(成俔) · 김흔(金昕) · 어세겸(魚世謙) · 손순효(孫舜孝) · 홍귀달(洪貴達) · 채수(蔡洙) · 김심(金諶) · 이승소(李承召) 등의 작품이 많이 실려 있다. 윤여형(尹汝衡) · 어무적(魚無迹)의 작품도 상당수 있어서 다양하고 폭넓은 문학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중종 13년은 사림계열 진출의 극성시기이다. 그러므로 『동문선』에 비하여 여실하게 유학 중심으로 바뀌어졌다. 따라서 내용면에서 『동문선』과 차이가 있다. 『동문선』에는 신라 · 고구려 때의 불교에 관련된 문헌이 풍부하게 실려 있었으나 『속동문선』에는 조선왕조의 숭유억불정책이 그대로 반영되어 완전히 유교문화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속동문선』은 당시 신진 사림층의 지도적 인물인 김종직의 작품에 많은 비중을 두었다. 이것은 『속동문선』 편찬과정과 분위기를 짐작하게 하는 중요한 일면이다. 『속동문선』은 중국에 보내는 표문(表文)을 모두 제외하고 있다. 이 점에서 자주적인 편찬의식의 일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8수의 의표(擬表) 외에 실용성을 지닌 표문은 전혀 배제하고 있다. 이 점은 훈구파가 사장(詞章)에 열중하여 표문을 중시하였던 것을 무언중에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문선』과 『속동문선』의 차이점을 통하여 약 40년 간에 문인들의 의식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속동문선』의 간행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속동문선』은 1966년 경희출판사(慶熙出版社) 에서 정편과 함께 영인본이 나왔다. 1968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국역하여 출판하였다. 규장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