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의식 ()

목차
관련 정보
영산재 / 괘불이운
영산재 / 괘불이운
불교
의례·행사
불교에서 불사리(佛舍利)나 괘불 등을 다른 장소로 옮길 때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에서 불사리(佛舍利)나 괘불 등을 다른 장소로 옮길 때 행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내용

이운의식에는 괘불이운(掛佛移運)·가사이운(袈裟移運)·불사리이운(佛舍利移運)·고승사리이운(高僧舍利移運)·금은전이운(金銀錢移運)·경함이운(經函移運)·설주이운(說主移運) 등이 있다.

① 괘불이운:영산재(靈山齋) 등을 올릴 때는 괘불(:걸을 수 있게 두루말이 형태로 만든 대형의 탱화)을 밖에 내어걸기 위하여 행하게 된다. 이 의식의 절차는 먼저 옹호게(擁護偈)로 의식도량의 정화(淨化)를 기하고 찬불게(讚佛偈)로 불덕(佛德)을 찬탄한 다음, 출산게(出山偈)로 괘불의 옮김을 발원하고 염화게(拈花偈)·산화락(散花落)으로 괘불이 법회의 장소에 옮겨짐을 축하한다.

등상게(等床偈)로 괘불이 신앙의 대상이 되기를 발원하고 사무량게(四無量偈)와 영산지심(靈山志心)으로 대자대비한 영산회상의 불보살에게 귀의한다. 그리고 이렇게 괘불을 이운한 다음 헌좌게(獻座偈)로 불보살이 자리에 앉기를 권하고 다게(茶偈)로 차공양을 올린다. 그리고 건회소(建會疏)로 괘불을 내어걸고 야외법회를 올리게 된 연유를 밝힌다.

② 불사리이운:불사리를 불탑(佛塔)에 모시기 위하여 불탑 쪽으로 옮길 때 행하는 의식이다. 그 절차는 먼저 옹호게로 의식도량의 청정을 기하고 사리게(舍利偈)로 불사리를 찬탄한다. 염화게로 불사리의 이운에 의한 불탑의 조영을 축하하고 헌좌게로 불사리의 정좌(定座)를 권한 다음 다게로 불사리에 공양한다. 이 의식은 불탑 앞에서 행한다.

③ 금은전이운:금은전이란 예수재(預修齋:살아 있는 사람이 죽은 후를 위하여 미리 하는 기도) 때 사용하는 지전(紙錢)이다. 예수재에서는 사람의 생년월일에 따라 명부(冥府)에서 갚아야 할 돈빚의 액수가 정해져 있어 이를 갚는 의식을 행하는데, 이때 종이로 지전을 만들어 사용하고 이 지전을 의식장소까지 옮길 때 금은전이운 의식이 있게 된다.

그 절차는 이운게로 금은전을 명부시왕(冥府十王)에게 봉납한다고 고(告)하고 봉헌전게(奉獻錢偈)로 명부의 수납책임자인 고사(庫司)에게 금은전을 수납하기를 발원한다. 그리고 이어 헌전게(獻錢偈)로 금은전을 명부의 수납에 바쳤음을 아뢴다. 금은전은 신앙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옹호게·찬탄·헌좌게·다게 등의 절차가 없고, 그를 옮겨 납부한 사실만을 의식화하고 있다.

④ 고승사리이운:고승이 죽으면 다비(茶毘:화장)를 하여 사리가 나오면 이 사리는 부도(浮屠)를 조영하여 그 속에 장치하게 되는데, 이때 고승사리를 부도 앞에 옮겨놓고 행하는 의식이다. 그 절차는 먼저 행보게(行步偈)로 사리가 다른 장소로 옮겨짐을 고하고, 등상게로 부도에 장치되어 신앙의 대상이 됨을 찬탄하고, 헌좌게로 안주할 자리에 오르게 됨을 축하하며 다게로 헌공하고 끝낸다.

이운의식은 신앙의 대상이 되는 것, 또는 신앙의 대상과 관계 있는 것을 옮기거니 손을 댈 경우 함부로 다루지 않고 경건한 신앙심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이운의식의 각 절차에 맞는 각종 의식음악과 의식무용 등을 곁들여서 신앙심을 더욱 북돋우게 한다.

참고문헌

『범음집(梵音集)』
『석문의범(釋門儀範)』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