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민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상장군,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집권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96년(명종 26)
본관
경주
출생지
경주
주요 관직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1190)
관련 사건
무신정변|김보당의 난|조위총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의민은 고려후기 상장군,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집권자이다. 출생일은 미상이며 1196년(명종 26)에 사망했다. 용력이 뛰어나 경군에 선발되었고 의종의 총애로 별장이 되었다. 1170년(의종 24) 무신정변에 행동파 무신으로 가담했고, 1173년 김보당의 의종복위운동 때에는 의종을 참혹하게 살해했다. 1174년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고 상장군에 올랐다. 정중부를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경대승이 1183년에 사망하자 무신집정의 자리에 올라 12년 동안 권력을 장악했다. 1196년 최충헌 형제에게 피살되었다.

정의
고려후기 상장군,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집권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아버지는 소금장수이며, 어머니는 옥령사(玉靈寺)의 비(婢)로서 천계(賤系) 출신이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70년 무신정변에 행동파 무신으로 가담하였고, 1174년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진압하면서 급속히 출세하였다. 정중부를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경대승이 사망하자 무신집정의 자리에 올라 1184년(명종 14) 정월부터 1196년(명종 26)까지 약 12년 동안 권력을 장악하였다. 이의민집권기는 무신정변에 참여했던 무신들과 천계 출신 무신들이 천하를 호령하던 시기였으며 전체 무신정권기(1170∼1270) 가운데 전기의 말엽에 해당한다.

신장이 8척에 이를 정도로 장대했고, 용력이 뛰어나 경군(京軍)에 선발된 뒤 수박(手搏)을 잘해 의종의 총애를 받아 별장(別將)이 되었다. 1170년(의종 24) 무신정변에 가담해 중랑장(中郎將)이 되었다가 장군으로 승진하였다. 이의민의 빠른 진급에 대해 『고려사』에는 이의민이 무신정변 때 사람을 많이 죽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1173년(명종 3)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김보당(金甫當)이 정중부의 집권에 반발해 의종 복위를 꾀하자, 유배지인 거제에서 경주로 나와 있던 의종을 참혹하게 살해하였다. 그 공으로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 1174년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의 난 때에는 정동대장군 지병마사(征東大將軍知兵馬事)가 되어 토벌했고, 그 공으로 무반의 최고직인 상장군(上將軍)에 올랐다.

1179년(명종 9) 복고(復古)의 뜻을 표방한 장군 경대승이 정중부세력을 타도하고 실권을 장악하였다. 경대승이 의종을 살해한 이의민에 대한 적대감을 공개적으로 드러내자 이의민은 1181년 형부상서 상장군에 임명되었지만 고향인 경주로 내려갔다. 1183년(명종 13) 경대승이 병사하자 이의민은 명종의 부름을 받고 조정으로 돌아와 실권을 장악하였다. 수사공좌복야(守司空左僕射)가 더해진 뒤 1190년에는 동중서문하평장사 판병부사(同中書門下平章事判兵部事)가 되었다. 1194년에는 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인사권을 비롯한 정치의 제반 사항을 장악하기에 이르렀다.

이의민은 무신들의 문반직 겸임을 확대하였으며, 문신 가운데서도 특별히 가문이 좋거나 학문이 뛰어난 사람들만 보임되던 내시(內侍)나 동수국사(同修國史)에도 무신을 임명하였다. 또한 막대한 권력을 기반으로 백성들의 토지를 함부로 수탈했으며, 가족들 역시 탐학을 자행했는데 두 아들은 항간에서 쌍도자(雙刀子)라고 불렸다.

정권을 장악한 이의민은 고참(古讖: 참언)의 “용손(龍孫)은 12대에서 끝나고, 다시 십팔자가 나온다(龍孫十二盡 更有十八子)”라는 말을 믿어, 십팔자(十八子)가 곧 ‘이(李)’의 파자(破字)이므로 자신이 왕이 될 생각까지 품게 되었다. 『고려사』에는 이의민이 경주 일대에서 난을 일으킨 효심(孝心) · 사미(沙彌) 등과 내통하는 등 왕이 되기 위해 신라부흥운동을 지원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의민을 제거하기 위한 최충헌 등 정적들의 조작인 것으로 보인다.

이의민은 1196년(명종 26) 아들 이지영(李至榮)최충헌(崔忠獻)의 동생인 최충수(崔忠粹)의 비둘기를 뺏은 것을 계기로 살해되었다. 최충헌은 상장군 최원호(崔元浩)의 아들이었지만 이의민의 정권 하에서 정치적 성장에 일정한 제약을 받았었다. 이렇게 정치적으로 소외되었으나 가문 출신이 좋은 무반들은 최충헌을 중심으로 세력을 모으고 있었다. 최충헌이 이의민을 살해하자 “여러 해를 막히고 뜻을 얻지 못한 많은 사람이 이로써 희망을 품었다”고 기록할 정도였다. 즉 이의민의 죽음은 이의민정권에서 소외된 세력들이 비둘기 쟁탈이라는 사건을 계기로 그 불만을 폭발시키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것이다. 이의민정권이 붕괴되자 최씨무신정권시대가 개막되어 4대 62년간 지속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금남집(錦南集)』
『최충헌묘지명(崔忠獻墓誌銘)』
「이의민정권의 재조명」(김호동, 『경대사론』7, 1994)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김당택, 『한국사』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이의민정권의 성격」(김당택, 『역사학보』83, 1973)
「高麗の武人と地方勢力-李義旼と慶州-」(旗田巍, 『朝鮮歷史論集』上-旗田巍先生古稀記念會 編-,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