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중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무신 정변을 일으킨 주동 인물이며 무신정권 초기의 정국을 주도했던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06년(예종 1)
사망 연도
1179년(명종 9)
본관
해주(海州)
주요 관직
상장군, 문하시중
관련 사건
무신정변,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중부는 고려 후기 무신 정변을 일으킨 주동 인물이며 무신정권 초기의 정국을 주도했던 무신이다. 1170년(의종 24) 대장군으로서 견룡 행수 산원인 이고, 이의방과 함께 무신 정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였다.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옹립하여 새로운 왕으로 세웠으며 다수의 문신을 살해하였다. 무신정권을 반대하는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고 이고, 이의방을 차례로 제거함으로써 권력을 집중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1179년(명종 9) 경대승에 의하여 살해되었다.

정의
고려 후기 무신 정변을 일으킨 주동 인물이며 무신정권 초기의 정국을 주도했던 무신.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장대한 체격과 뛰어난 용모를 지닌 무인적 풍모가 있었던 인물이다. 그러나 욕심이 많고 인색하다는 평을 받았다.

주요 활동

주(州)의 군적(軍籍)에 올라 개성에서 공학 금군(控鶴禁軍)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인종(仁宗) 때 견룡대정(牽龍隊正)이 되었다. 이때 왕이 참석한 가운데 섣달 그믐날 밤의 나례(儺禮)가 베풀어졌다. 그 자리에서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문신인 김돈중(金敦中)으로부터 촛불로 수염을 태우는 모욕을 당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무신과 문신 간의 대립이 노골화되기 시작하였다. 인종의 신임을 받아 근시(近侍)하였고, 의종(毅宗) 초에는 교위(校尉)가 되었다. 여러 관직을 거쳐 상장군에 올랐다.

의종은 호색(好色)하고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그리고 주연을 베풀 때마다 문신은 함께 즐기고 무신들은 그 경호만을 맡아 허기와 추위에 떨도록 하였다. 자연히 무신들 사이에 불만이 쌓였다. 1170년(의종 24)에 의종이 화평재(和平齋)에 행차하였을 때 견룡 행수(牽龍行首)인 산원(散員) 이의방(李義方) · 이고(李高) 등과 함께 반역을 결심하였다. 그 뒤 왕이 연복정(延福亭)에서 흥왕사(興王寺)를 거쳐 보현원(普賢院)에 이르자 수행하던 문신과 환자(宦者) 등을 살해하였다.

보현원에서 반란에 성공하자 곧바로 개성(開城)을 공략하였다. 궁궐과 태자궁(太子宮)을 휩쓸면서 대소의 문신 50여 명을 죽인 다음 왕을 거제현(巨濟縣: 지금의 거제도)으로, 태자를 진도현(珍島縣: 지금의 진도)으로 추방하였다.

그리고 왕의 아우 익양공(翼陽公) 왕호(王晧)를 명종(明宗)으로 옹립한 뒤 무신정권을 수립하였다. 정중부는 의종의 곽정동택(藿井洞宅) · 관북택(館北宅) · 천동택(泉洞宅) 등 세 사저와 거기에 축적했던 수많은 재물을 이의방 · 이고 등과 나누어 차지하였다.

그리고 문관직인 참지정사(參知政事)와 뒤이어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가 되었다. 또한, 훈(勳) 1등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었다. 그리고 1172년(명종 2) 서북면판사행영병마 겸 중군병마판사(西北面判事行營兵馬兼中軍兵馬判事)가 되었다.

이듬해 김보당(金甫當)이 무신정권을 타도하고 의종을 복위시키려는 난을 일으켰다. 그러나 정중부는 이를 평정하고 김보당의 잔당 장순석(張純錫) · 유인준(柳寅俊)을 따라 경주(慶州)까지 왔던 의종을 이의민(李義旼)을 시켜 살해하였다.

또한, 모든 문신과 함께 꾀했다는 김보당의 거짓 진술을 듣고, 그 동안 화를 면했던 모든 문신을 죽이려 하였다. 그러나 이준의(李俊儀) · 진준(陳俊) 등의 만류로 중지하였다. 1174년(명종 4) 서경 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난을 일으키자 3년 만에 이를 평정하였다. 이 때 정중부의 아들인 정균(鄭筠)이 승(僧)인 종참(宗旵) 등을 이용해 이의방을 죽이고 그 도당들을 잡아 죽였다. 이것으로 권력을 집중하게 된다.

조위총의 난이 일어나던 해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이 되었다. 재물을 탐해 남의 토지를 빼앗아 광대한 농장(農莊)을 소유하였다. 또한, 집에서 부리던 종들과 문객(門客)들도 주인의 권세를 믿고 횡포를 일삼았다.

1175년(명종 5) 궤장(几杖)이 하사되고 1178년(명종 8)에 벼슬에서 물러났다. 1179년(명종 9) 청년 장군 경대승(慶大升)에 의하여 아들 정균, 사위 송유인(宋有仁) 등과 함께 살해당하였다. 초기 무신정권의 핵심인물로서, 이고, 이의방 등의 정변 주모자들을 차례로 제거하면서 무신정권 초기의 정국을 주도했던 인물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당택, 『고려의 무인정권』(국학자료원, 1999)

논문

김창현, 「정중부 정권의 성립과 운영」(『한국중세사연구』15, 한국중세사학회, 2003)
김창현, 「왜 고려 무인집권자는 새 왕조를 개창하지 않았는가?」(『내일을 여는 역사』28, 민족문제연구소, 2007)
박옥걸, 「무신란과 정중부정권」(『백산학보』54, 백산학회, 2000)
안영근, 「정중부 정권과 송유인」(『건대사학』7, 건국대학교 사학회, 1989)
채웅석, 「명종대 권력구조와 정치운영」(『역사와 현실』17, 한국역사연구회,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