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종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제19대(재위: 1170~1197) 왕.
이칭
본명
왕호(王晧)
초명
왕흔(王昕)
지단(之旦)
시호
광효(光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31년(인종 9)
사망 연도
1202년(신종 5)
본관
개성(開城)
주요 관직
고려 제19대 임금
관련 사건
무신정변
내용 요약

명종(明宗)은 고려 후기 제19대(재위: 1170~1197) 왕이다. 1170년(의종 24) 무신정변에 의하여 국왕으로 옹립되었다.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등 무신 집정자가 교체되는 상황에서 왕위를 유지하였다지만, 1197년(명종 27)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폐위되었다. 재위 기간은 무신정권하에서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민란으로 어지러웠던 시대이기도 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제19대(재위: 1170~1197) 왕.
가계 및 인적 사항

재위 기간은 1170년∼1197년이다. 이름은 왕호(王晧), 초명은 왕흔(王昕), 자는 지단(之旦)이다. 인종(仁宗)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毅宗)의 친동생이다. 비(妃)는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의 딸인 의정왕후(義靜王后)로, 강종(康宗)이 즉위하여 광정태후(光靖太后)라 하였다.

주요 활동

1148년(의종 2)에 익양후(翼陽侯)로 봉해졌다. 1170년(의종 24) 정중부(鄭仲夫) 등이 일으킨 무신정변에 의하여 의종이 폐위되고 추대되면서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 곧 수문전(修文殿)에 나아가 정중부를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이고(李高)를 대장군(大將軍) · 위위경(衛尉卿)으로, 이의방(李義方)을 대장군 · 전중감(殿中監)으로 임명하는 등 자격과 서열을 무시하여 기용하였다. 또 문관직과 무관직에 관계없이 정중부 등의 의중에 따라 관직을 임명하였다.

1171년(명종 1) 양광(楊廣) · 충청주도(忠淸州道)와 경상(慶尙) · 진합주도(晉陜州道)를 각각 2도로 구분하였다. 1173년(명종 3)에 원자(元子) 왕도(王瓙: 훗날의 강종(康宗))를 세워 태자를 삼고, 56현에 각각 감무(監務)를 두었다. 같은 해에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김보당(金甫當)이 정중부와 이의방의 타도와 전왕(前王) 의종의 복위를 명분으로 동계(東界)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그러나 정중부와 이의방 등에 의해 평정되고 의종은 경주에서 이의민(李義旼)에 의해 살해되었다. 3경(京) ·4대도호부(大都護府) ·8목(牧)으로부터 군(郡) · 현(縣) · 역(驛) · 관(館)에 이르기까지 무신의 등용을 허락하여 지방관까지도 무신이 장악하게 되었다.

1174년(명종 4)에 주5에 의해 좌소 백악산(左蘇白岳山)과 우소 백마산(右蘇白馬山) · 북소 기달산(北蘇 箕達山)에 연기궁궐(延基宮闕)을 두기로 하고 그 조성관(造成官)을 두었다. 이해에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무신정권에 반대하여 서경에서 군사를 일으키자 윤인첨(尹麟瞻)을 원수(元帥), 기탁성(奇卓誠)을 부원수로 삼아 서경을 평정하였다.

1175년(명종 5)에 영양(英陽: 지금의 경상북도 영양군) 등 10현에 감무를 두었으며, 1178년(명종 8)에 찰방사(察訪使)를 각 도(道)에 파견하여 백성들의 고통과 지방관들의 근무 태도를 살피게 하였다. 또한 1월 15일에 행하던 연등회(燃燈會)를 옛 제도에 따라 2월 15일로 환원하였다. 1182년(명종 12)에 민란이 일어난 관성현(管城縣: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과 부성현(富城縣: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을 폐지하였다. 1186년(명종 16)에 장군 차약송(車若松) 등 무관 43인을 내시원(內侍院)다방(茶房)에 겸속(傔屬)시켰다. 무신의 겸속은 여기에서 비롯되었는데 이것으로 무신은 왕의 근시직(近侍職)까지도 차지하게 되었다. 그해 경상주도(慶尙州道)와 진합주도를 합쳐 경상주도로 삼았다.

1188년(명종 18)에 양계병마사(兩界兵馬使)주1로 하여금 지방을 순찰하여 지방관들의 행정 실태를 살피게 하였다. 1192년(명종 22)에 주2이 귀해져 공사의 연회에 유밀과(油蜜果)의 사용을 금하였다. 1195년(명종 25)에 오래 묵은 빚을 면하게 하여 민생의 괴로움을 덜어 주려 하였고, 상주에 공검대제(恭儉大堤)를 축조하여 주3에 힘쓰기도 하였다. 1196년(명종 26)에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하자 이듬해 1197년(명종 27)에 최충헌에 의하여 폐위당하였다.

1170년 무신정변에 의하여 왕위에 오른 이후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등이 차례로 집권하는 정치적 격변 속에서 왕위를 유지하였지만, 결국 최충헌의 집권으로 폐위된 셈이다. 26년 재위 기간은 무신정권하에서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민란으로 어지러웠던 시대이기도 하였다. 서북지역의 민란으로부터 공주 주4, 전주 군인과 관노(官奴)의 난 등이 그것이다. 최충헌 집권 이후의 폐위는 이러한 정치적 혼란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었고, 그에 의하여 최충헌의 집권을 합리화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광효(光孝)이며, 능은 지릉(知陵)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당택, 『고려무인정권연구』(새문사, 1987)
이정신, 『고려 무신정권기 농민 천민 항쟁 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1)

논문

나만수, 「고려 명종대 무인정권과 국왕」(『성대사림』 6, 성균관대학교 사학회, 1990)
이정신, 「고려 명종 연구」(『한국인물사연구』 6, 한국인물사연구회, 2006)
주석
주1

중국 송나라ㆍ명나라 때에, 지방 군현을 다스리며 풍속과 교육을 감독하고 법을 어기는 일을 단속하던 벼슬. 우리말샘

주2

꽃에서 꿀이 분비되는 현상. 우리말샘

주3

농사를 장려함.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공주(公州)에 속한 소. 지금의 대전광역시 서구 일대로, 고려 명종 때 천민 출신인 망이(亡伊)와 망소이(亡所伊)가 이곳에서 난을 일으켰다. 우리말샘

주5

통일 신라 시대 후기에, 인문 지리적인 인식과 예언적인 도참 신앙이 결부되어 이루어진 학설. 도선(道詵) 대사가 제창한 사상으로, 지리는 곳에 따라 쇠왕과 순역이 있기 때문에 왕처와 순처를 택하여 살 것을 주장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