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최응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개항기 때, 통리기무아문의 총리대신, 영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양백(良伯)
산향(山響)
시호
충익(忠翼)
이칭
유유정승, 흥인군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15년(순조 15)
사망 연도
1882년(고종 19)
본관
전주(全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통리기무아문의 총리대신, 영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남연군(南延君) 이구(李球)의 아들이고,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형으로 흥인군(興寅君)에 봉해졌으며 민씨정권의 주요 인물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경복궁 중건 당시 1865년(고종 2) 4월 영건도감제조(營建都監提調)를 지냈으며, 9월에는 판의금부사 · 호위대장 등에 임명되었다. 대원군정권에서는 요직에 등용되지 못하다가, 1873년 대원군이 실각한 뒤에 비로소 같은 해 12월 좌의정, 1878년 영의정이 되었다.

1880년 12월 통리기무아문의 설치로 영의정이 총리대신으로 바뀜에 따라 총리대신이 되었으나, 1881년 유림들의 반대로 사직하고 한직인 영돈녕부사를 지냈다. 1882년 잠시 광주부유수를 지낸 뒤 다시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그러나 그 해 6월 10일 임오군란 때 폭동군인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대원군이 시행한 당백전 제도에 대해 “일문전(一文錢)이 어찌 백문전(百文錢)으로 쓰이겠는가? 다만, 일문의 가치로만 쓰일 뿐이다”라고 비판하였다. 물건값을 치를 때에도 그런 식으로 계산하였기 때문에 이익을 얻은 상인이 많았다고 한다.

1881년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 때 유림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홍재학(洪在鶴)은 이최응의 처형을 주장하는 상소를 하기도 하였다. 그 뒤 만인소에 대한 취조관(委官)이 되어 홍재학의 교수형을 집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의 조약체결 때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일본에 갔던 김홍집일행이 『조선책략』을 가져와 미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논의(聯美論)를 펼치자, “미국은 본래 원수의 나라가 아니니 서계(書契)를 가져오면 받아야 할 것”이라고 하여 1880년 9월 8일 연미론을 적극 수용하였다.

이에 고종도 병인 · 신미양요는 우리나라가 스스로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하여 미국과의 조약체결을 결심하게 되었다. 이어 1881년 1월 지난해 6월 자신이 미국사신을 거부한 것을 후회하는 문서를 톈진[天津]으로 가는 영선사 유학생을 통해 중국에 보냈다.

그런데 주화 · 척화 · 개국 등에 관해 뚜렷한 주관이 없이 모두 옳다고만 한다 하여 당시 사람들로부터 ‘유유정승(唯唯政丞)’이라고 불렸다.

시호는 충익(忠翼)이었으나 1905년 문충(文忠)으로 다시 내려졌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매천야록(梅泉野錄)』
『일성록(日省錄)』
『한국사』최근세편(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