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혜정 ()

고대사
제도
통일신라시대, 지방군의 중핵인 10정 군단의 하나로, 명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기보병 군단.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통일신라시대
내용 요약

이화혜정은 통일신라시대에 지방군의 중핵인 10정 군단의 하나로, 명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기보병 군단이다. 통일신라시대 지방군으로서 각 주에 설치된 기보병 군단인 10정 가운데 하나이다. 이화혜정의 경우 명주의 치소인 강릉에서 상당히 후방인 경상북도 청송 지역에 주둔하여 다른 정들과는 색다른 면을 보여주는데, 10정이 지방 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요충지에 주둔하였던 만큼 크게 다르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통일신라시대, 지방군의 중핵인 10정 군단의 하나로, 명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기보병 군단.
제정 목적

통일신라의 9주 가운데 명주 지역의 지방 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내용

통일신라시대 지방군의 중핵으로서, 각 주에 설치된 기보병 군단 가운데 하나로서 명주 지역에 주둔하였다. 편제는 기병을 통솔하는 대대감- 소감- 화척 계열의 지휘관과 보병을 통솔하는 삼천당주- 삼천감- 삼천졸 계열로 이루어져 이중적인 지휘 체계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삼천당은 신라 중고기 왕경인으로 편성된 중앙의 보병 군단이었으나, 문무왕 대에 지방으로 확대되어 각 주의 10곳에 주둔하게 됨에 따라 10정으로 재편되었다. 이때 군사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기병 조직을 증강하면서 대대감 계열의 기병 조직이 기존 보병 조직과 결합하게 되었다.

10정의 주둔지는 2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주1가 있는 주 직할지에 주둔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군현에 주둔한 경우이다. 전자는 음리화정, 미다부리정, 남천정, 벌력천정이 해당하며, 후자는 고량부리정, 거사물정, 삼량화정, 소삼정, 골내근정, 이화혜정 등이 해당한다.

이화혜정의 경우 명주의 치소인 강릉에서 거리가 상당히 멀고 후방인 경상북도 주2 지역에 주둔하여 다른 정들과는 색다르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10정이 각 주의 지방 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군사적, 경제적 요충지에 주둔하였던 만큼 이화혜정 역시 크게 다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일반적으로 신라의 23군단은 (幢)을 명칭으로 하는데, 6정과 10정만이 예외적으로 (停)을 칭하고 있다. 6정이 소백산맥을 축으로 한 방어적 군사 운용을 상징하였다면, 10정은 삼국통일 후 새로이 정립된 국토관을 바탕으로 재편된 군사력으로 신라 중대의 지방 군사력으로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선사서당화상비(高仙寺誓幢和尙碑)」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한준수, 『신라중대 율령정치사 연구』(서경문화사, 2012)
이문기, 『신라병제사연구』(일조각, 1997)
이인철, 『신라정치제도사연구』(일지사, 1993)

논문

이경섭, 「신라 삼천당의 성격과 추이」(『탐라문화』 59,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한준수, 「신라 신문왕대 10정의 설치와 체제정비」(『한국고대사연구』 38, 한국고대사학회, 2005)
주석
주1

어떤 지역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이 있는 곳.    우리말샘

주2

경상북도 동부에 있는 군. 잎담배, 고추 따위가 나며, 소를 많이 기른다. 명승지로 주왕산, 주왕굴(周王窟), 대전사(大典寺), 학소대(鶴巢臺)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청송, 2020년 경상북도 청송군청 누리집을 기준으로 면적은 846.1㎢.    우리말샘

집필자
한준수(국민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